IT/바이오

“AI와 결합한 XR 헤드셋 무한”…삼성, 신기능으로 시장 판도 흔든다

송우진 기자
입력

AI와 결합한 확장현실(XR) 헤드셋이 새로운 산업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구글과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XR 기반의 신형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이 22일 글로벌 공개를 앞두면서, 하드웨어·사용성·플랫폼의 다중 혁신에 시선이 모아진다. 업계는 삼성의 이번 출시에 대해 “AI와 XR의 결합 경쟁이 본격화되는 분기점”으로 보고, 시장 주도권 각축 양상에 주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이벤트 초대장을 공식 배포하고 오는 22일 오전 11시(한국시간) 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을 온라인으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멀티모달 AI의 새로운 시대, 더 넓은 세상이 열린다’는 슬로건으로 진행되며, 제품 명칭과 세부 스펙이 공식 확인될 예정이다.

주요 사양상 ‘무한’은 황금비율의 4K 마이크로-OLED 디스플레이 두 장을 각각 좌우에 적용, 총 2900만 화소 및 4032PPI(인치당 픽셀 수)의 초고밀도 화면을 구현했다. 기존 애플 비전 프로(2300만 화소) 대비 더욱 선명하고, 스크린도어 효과(픽셀 격자 모양 불쾌감) 최소화 등 실감 몰입도를 높였다는 평이다. 연산 및 제어 성능은 퀄컴 스냅드래곤 XR2+ 2세대 칩과 6자유도(6 DoF) 컨트롤러 조합, 전면 6개 센서·카메라·적외선 등 복합 입력 방식으로 크게 향상됐다.

 

기술적 차별점으로는 여러 입력 채널을 동시 인식하는 멀티모달 AI 기반 인터페이스가 꼽힌다. AI가 눈·손·음성·동작 등 복수의 사용자 신호를 실시간 처리해, 정교한 명령 대응과 맞춤형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무한 내부에 마련된 버튼을 눌러 구글 AI인 ‘제미나이’를 즉각 호출할 수 있으며, 4개의 마이크가 음성 및 주변 소음을 정교하게 분리해 소통 품질을 높인다. 이런 기능들은 AI가 디바이스-인간 간 직관적 상호작용을 한 차원 끌어올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드웨어는 약 545g의 무게와 2~2.5시간 수준의 배터리 지속력을 갖춰, 애플·메타 기기와 비교해 중간 포지션을 형성할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선택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과 구글과의 깊은 연동도 눈길을 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XR 플랫폼 주도권 확보 싸움에서 하드웨어·운영체제(OS)·AI의 삼각동맹 효과가 작동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경쟁 구도도 가열되고 있다. 무한은 비전 프로의 초고가(3499달러)와 메타 퀘스트3의 보급형(499달러) 사이, 약 1800달러의 가격대로 시장 양분 구조의 허리를 노린다. XR 시장은 애플, 메타, 삼성 등 IT 대기업이 혁신 플랫폼 경쟁을 벌이는 무대가 되고 있으며, 각 사는 초고화질, 몰입감, AI 기반 상호작용(인터랙션)을 키워드로 차별화 중이다.

 

이와 함께 멀티모달 AI의 도입에 따른 개인정보·데이터 보호, 신기능 관련 플랫폼 인증, 소프트웨어 생태계 조성 등 현안들도 부각된다. 국내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규제 당국의 디지털 기기 인증과 AI사용 가이드라인 적용 사례가 일부 제시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선 구글, 메타, 애플이 이미 플랫폼-디바이스 융합 전략을 본격화한 상황이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XR 헤드셋이 AI와 하드웨어, 플랫폼 경쟁의 또 다른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XR 서비스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플랫폼 생태계 주도권 쟁탈전과 함께 주시하고 있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전자#xr헤드셋#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