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국 생산 확대에 18조원 투자”…스텔란티스, 관세 압박 속 현지화 가속 전망

임태훈 기자
입력

현지시각 14일, 미국(USA)에서 스텔란티스(Stellantis)가 향후 4년간 130억달러(약 18조6천억원)를 투자해 자국 내 자동차 생산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보호무역 기조 강화에 따른 관세 부담 증대와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라는 두 가지 과제에 대응하는 전략적 결단으로, 업계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스텔란티스는 미시간, 인디애나, 일리노이, 오하이오 등 미국 중서부 공장에 집중 투자하며, 총 5종의 신차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5천 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한 연간 생산량도 기존 대비 50%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간 가동이 중단됐던 일리노이주 벨비디어 공장에는 6억달러 이상이 투입되며, 2027년까지 ‘지프 체로키’와 ‘컴패스’ 등 SUV 생산이 미국 현지 조립 방식으로 전환된다.

스텔란티스, 미국 자동차 생산 확대에 4년간 18조6천억원 투자
스텔란티스, 미국 자동차 생산 확대에 4년간 18조6천억원 투자

스텔란티스 최고경영자(CEO) 안토니오 필로사는 “이번 투자는 회사 역사상 최대 규모”라며, 미국 시장 성장 가속화가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핵심 전략임을 강조했다. 지난 5월 말 취임한 필로사 CEO는 취임 직후부터 미국 내 실물 생산 확대와 시장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워왔다.

 

스텔란티스는 판매 부진과 관세 비용 부담 상승 등 미국에서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왔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이후 자동차와 부품에 추가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데다, 내달 1일부터는 대형 트럭 수입분에 25%의 추가 관세가 예정돼 있어 업계 전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지 생산 확대가 비용 에피소드 일부를 상쇄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스텔란티스가 올해만 관세로 15억달러(약 2조1천억원) 내외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기준 미국 판매 차량의 45%가 수입차였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 현지화 전략은 시장 내 입지 개선과 장기적 비용 절감에 의미가 있다고 분석했다.

 

스텔란티스는 2021년 ‘피아트 크라이슬러’와 프랑스 ‘PSA’의 합병으로 출범한 완성차 대기업으로, ‘크라이슬러’, ‘지프’, ‘피아트’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미국 내 생산시설 강화와 함께 관세 리스크 분산 전략이 향후 실적에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 일리노이 공장 등 신규 투자가 계획대로 집행될지, 업계와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조치가 북미 자동차 업계와 스텔란티스의 글로벌 전략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임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스텔란티스#미국#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