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12월 금리인하 확정 아니다”…미 연준, FOMC 앞두고 신중론에 시장 불확실성

김서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3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내놓았다. 이번 신호는 미국 내 경제지표와 물가상승 흐름에 따라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이 불투명해졌음을 시사하며, 국제 금융시장 역시 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준은 내달 9~10일 올해 마지막 FOMC 회의를 앞두고 있다. 로이터, 블룸버그 등 주요 매체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리사 쿡 연준 이사는 이날 행사에서 “금리인하 가능성은 열려 있으나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고용시장과 물가 안정이라는 정책목표에 리스크가 모두 커졌다고 지적하면서, “금리를 너무 높게 유지하면 노동시장이 급격히 악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노동시장이 여전히 건전하다고 평가한 쿡 이사는 “금리를 기민하게 내릴 경우엔 기대 인플레이션이 고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는 점도 상기했다.

연준 12월 금리인하 불확실성 확대…FOMC 위원들 신중 발언 이어져
연준 12월 금리인하 불확실성 확대…FOMC 위원들 신중 발언 이어져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역시 같은 날, 금리인하를 노동시장을 보호하는 일종의 ‘보험’ 개념으로 해석했다.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는 과정에서 대량 실업이 초래되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며 연준이 “위험을 균형 잡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반면,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현재 금리가 과도하게 긴축적”이라며 자신은 앞선 FOMC에서 0.5%포인트 인하를 지지해왔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중립 금리수준이 지금보다 상당히 낮으며, 인플레이션에 대해선 보다 낙관적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전날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연준 목표(2%)를 크게 넘고 있다”며, 금리인하를 즉각 단행할 필요성에 선을 그었다. 그는 “결정 기준이 전보다 높아졌다”며, “다음 회의에서 어떤 결론이 나올지는 미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연준 내 주요 인사들의 견해가 엇갈리며 12월 기준금리 결정에 대한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욱 확산되는 분위기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 기준,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기준금리 동결 확률은 34.7%, 0.25%포인트 인하 확률은 65.3%로 집계됐다.

 

뉴욕타임스 등 미국 유력 매체들은 “이번 FOMC는 연준의 정책 신뢰도와 내년 미국 경제 전망에 중대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경기 둔화 가능성과 인플레이션 진정 추이를 가늠하며, 12월 FOMC 이후에도 기준금리 논쟁이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사회 역시 연준의 정책 결정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연준#fomc#금리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