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패스 앱으로 건강보험 문서 확인”…통신 3사, 전자고지 서비스 확대

오태희 기자
입력

패스(PASS) 앱 기반 전자고지 서비스가 공공·의료분야로 확장된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전자문서를 PASS 앱으로 안내하는 신규 서비스를 18일 공식 개시했다. 현행 시스템에서는 건강검진표나 본인부담금 환급금 지급 안내, 대사증후군 위험 안내문 등 건강보험공단의 주요 알림을 종이 문서 중심으로 전달했다. 그러나 PASS 앱 내 전자고지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기관 발송 문서를 실시간으로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게 했다.

 

PASS 전자고지는 최초 1회 PASS지갑 서비스 가입과 공인전자주소 등록 약관 동의를 거쳐 활성화되며, 이후 오는 알림은 간단한 본인인증만으로 열람 가능하다. 발송 기관은 안내문 미열람 시 추가 알림을 자동 전송해, 고지 누락 위험을 낮춰 준다. 통신 3사에 따르면 국민비서 서비스 기준 PASS 앱 기반 필수고지 열람률은 55%에 달해 기존 종이 또는 문자 안내 대비 열람률이 크게 높아졌다.

이 같은 구조는 3800만 가입자를 기반으로 기관별 각종 안내문, 고지서, 정책 변동 사항 등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파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PASS 앱은 본인확인과 인증에 특화돼 대다수 이용자가 알림 기능을 상시 사용한다는 점에서, 정보 전달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다.

 

글로벌 주요 통신 사업자들도 다양한 디지털 인증·고지 플랫폼을 운영 중이지만, 국내처럼 전국 단위 통합 인증앱을 기반으로 한 전자고지 상용화는 아직 제한적이다. 이번 서비스는 개인정보 보호 규정, 공공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 등 국내 제도 내에서 이뤄지는 점이 특징이다.

 

KT는 이번 전자고지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PASS머니 지급 등 다양한 이용자 프로모션도 마련했다. 업계 관계자는 “행정, 의료 등 공공분야의 전자고지 확장이 사회 전체의 업무 효율 개선과 사용자 편의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서비스가 폭넓게 정착할지 주시하고 있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k텔레콤#kt#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