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식료품 물가 3.5%↑”…폭염·요금 인상에 생활비 부담 확산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3.5% 상승하며 1년 만에 가장 높은 오름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150원 인상되고 공공서비스 물가도 동반 상승하면서 가계의 생활비 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상기후와 공공요금 인상이 맞물린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정부의 하반기 공공요금 정책에도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발표에 따르면,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지수는 125.75(2020=100 기준)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1%)을 크게 웃돌았다. 두 달 연속 3%대 상승세가 이어지며 지난해 같은 달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폭염·폭우 등 최근 기상 이변과 주요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 등이 물가 상승의 주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품목별로 보면 오징어채(42.9%)와 조기(13.4%), 고등어(12.6%) 등 수산물 가격이 평균 7.2% 올랐다. 쌀(7.6%), 빵·곡물류(6.6%), 라면(6.5%) 등 주요 식품군도 일제히 상승했다. 커피·차·코코아 등 음료 품목은 13.5%로 높은 인상률을 보였고, 청량음료·생수·과일주스 등도 모두 가격이 올랐다. 도심 교통비 인상 역시 생활물가 부담을 키우고 있다. 7월부터 수도권 도시철도 요금은 150원 인상되며 전월 대비 7.0% 뛰었다. 이로 인해 일반 출퇴근자의 하루 교통비(지하철 왕복 기준)는 3,000원을 넘었다. 공공서비스 물가도 1.4% 반등했다.
시장에서는 상반기 중앙부처 주도 공공요금 동결 정책으로 그간 생활물가 상승이 어느 정도 제한됐지만, 하반기 추가 전기·가스·철도 등 공공요금 인상 여부에 따라 물가 상승세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경제학계에서는 기상 이변에 따른 농축수산물 수급 불안과 각종 요금 인상이 맞물리면서, 서민 생활비 압박이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정부도 “하반기 물가 동향에 따라 추가 관리 대책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지수 상승률(3.5%)은 최근 1년 사이 최고치로, 같은 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1%를 크게 상회했다. 향후 정책 방향은 공공요금 결정, 농축수산물 공급안정 등 주요 지표 흐름에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