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용 영장류 259마리, 항원검사 없이 안락사”…노종면, 생명연 동물실험 윤리 논란 제기
실험동물 안락사를 둘러싼 절차 논쟁이 국회에서 다시 불붙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노종면 의원은 24일, 자료를 인용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실험용 영장류 수백 마리를 항원 검사 없이 안락사했다”고 지적하며 생명윤리와 과학적 검증 절차 부실 문제를 제기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생명연과 영장류 구매 계약을 맺은 업체가 1차 납품 202마리, 2차 납품 57마리 등 최소 259마리를 ‘바이러스 모니터링 양성’을 이유로 안락사 처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업체는 전북지방환경청에 폐사 신고서를 내면서 B-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근거라고 밝혔지만, 감염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항원 검사는 한 차례도 없던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실험동물에는 치사율이 최대 80%에 이르는 B-바이러스 항체가 다수 검출됐지만, 단순 항체 검사는 실제 감염을 증명하진 못한다는 것이 노종면 의원의 주장이다. 그는 “바이러스 감염 이유로 안락사를 결정했다면, 단순 항체 검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실제 감염 여부를 밝히는 항원 검사 등 구체적 검증 절차가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제인 구달만큼은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생명윤리 기준은 갖고 연구해야 한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이에 대해 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은 “당시는 B-바이러스 항원 검사 진행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고 설명하며, 현장적 제약을 강조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과학 분야 실험동물 관리 기준과 동물복지 윤리, 그리고 검증 절차 현실이 충돌하는 상징적 사건이라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이 영장류들은 2021년과 2022년 캄보디아에서 들여온 개체들이며, 치사율 높은 바이러스 관련 위험성도 거론된다.
국회는 향후 실험동물 관리 기준과 관련 제도 재정비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