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뿌리 뽑는다”…정부·이통3사, 보이스피싱 근절 총력전
AI 기반 기술이 보이스피싱 범죄와의 싸움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 정부와 이동통신 3사가 협력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시간 탐지·차단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보이스피싱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민생 현안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더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제적 예방과 데이터 기반 대응에 나서는 중이다. 업계는 이번 프로젝트를 ‘AI를 통한 디지털 범죄 대응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장관은 8일 KT 광화문 사옥에서 열린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간담회에서 직접 “AI로 보이스피싱 범죄 근절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자신의 실제 사례를 들며 “보이스피싱 문제는 남 일이 아니다”라며, 피해 발생 자체를 막기 위한 ‘사전 차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해 상반기 대비 보이스피싱 피해가 23% 이상 증가하고, 피해액도 98% 증가해 6400억원에 달한 점을 들어, 신속하고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AI 기술의 실질적 역할과 데이터 체계 고도화도 집중 조명됐다. 통신3사는 실제 범죄에 이용된 음성 데이터와 비식별화 기술을 활용해 AI 학습의 정확도를 높이고, 정부기관 보유 데이터를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제도 아래 공동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KT는 ‘실시간 통화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 서비스는 음성 문맥 분석은 물론 AI로 변조된 딥보이스(가짜 목소리)까지 탐지할 수 있도록 보안 역량을 대폭 강화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보유 실제 보이스피싱 콜 데이터를 적용해 탐지율 95% 이상, 피해 사전 예방액 2000억원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 SK텔레콤은 이미 신고된 번호의 수·발신 자동 차단 시스템을 운영하고, 딥보이스 탐지 기능을 도입 중이다. LG유플러스는 전 매장을 ‘보안 전문 매장’으로 전환, 자사 익시오(ixi-O) 앱에서 실시간 보이스피싱 경고 알림을 제공 중이다. 모든 통신사는 규제샌드박스 제도 활용에 힘써 정부기관 보유 데이터를 AI 서비스에 반영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기술적으론 AI 음성인식, 문맥 기반 분석, 딥보이스 탐지 등 고도화된 알고리즘이 보이스피싱 방어의 열쇠가 되고 있다. 기존 번호·문자 기반 필터링이 한계에 부딪혔던 데 비해, AI는 실제 음성 데이터를 기준으로 더 높은 정밀도를 제공한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유사한 AI 음성범죄 방지 기술 개발 바람이 거세다. 미국은 이동통신사와 정부 기관이 공동 데이터를 활용하고, 일본·유럽 역시 금융거래 모니터링 AI 도입을 확대 중이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 간 균형, 규제기관의 실시간 심사 체계 구축 등은 여전히 진입장벽으로 꼽힌다. 과기정통부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비식별화·공유 기반 데이터 협약을 확대, 데이터 활용 제도의 허들을 낮추는 데 계속 힘쓸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AI 기반 실시간 통화 탐지와 딥보이스 인식이 적용될 경우, 보이스피싱 사전 차단 효과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내다본다. 배 장관은 “내년에도 정책 성과 검증을 위해 간담회를 열겠다”면서, AI와 데이터, 정부-민간 협업이 만들어내는 실제 피해 감소 효과를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