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진법사 청탁의혹 피의자 구속영장 청구”…김건희특검, 영향력 행사·금품수수 혐의 규명 속도
정치권 핵심 인사를 둘러싼 청탁 의혹을 두고 민중기 특별검사팀과 피의자 측이 정면 충돌했다. 김건희 여사 관련 각종 의혹 수사가 청탁 및 금품거래 혐의로 확대되면서 정치적 파장과 진실 공방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특검은 28일 '건진법사 청탁 의혹'의 주요 피의자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며 신속한 신병확보에 나섰다.
오정희 특별검사보는 이날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건진법사 등 청탁 의혹 사건과 관련해 이모씨에 대해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공식 밝혔다.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죄는 공무원 직무 관련 알선을 이유로 금품을 받거나 요구, 약속하면 공무원이 아니더라도 처벌받는 중대 범죄다. 특검 측은 “청탁 의혹의 구체적인 혐의 사실을 외부에 밝히기는 어렵다”면서도, 피의자는 통일교 관계자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고 부연했다.

이른바 ‘건진법사 청탁 의혹’은 통일교가 김건희 여사에게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고가 목걸이와 가방을 제공하며 교단 현안에 대한 청탁을 시도했다는 의혹에서 비롯됐다. 또한 2022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 인사들로부터 기도비 명목의 자금을 받아 공천 관련 부탁을 김 여사를 포함한 정치권 핵심 인사에 전달했다는 주장도 잇따랐다.
특검은 다른 핵심 관계자에 대해서도 수사망을 더욱 좁히고 있다. 오정희 특별검사보는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내일 오전 10시에 피의자로 출석하라고 통보했으나, 아직 출석 여부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검팀은 이례적으로 강제수사와 소환 절차를 동시에 병행하면서 사건 전반의 실체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야권은 “특검의 신속한 신병확보 조치는 진상 규명 촉진의 신호탄”이라며 기대감을 보이고 있는 반면, 여권 일각에서는 “정치적 의도에 휩쓸린 무리한 수사”라며 반발 기류가 감지된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향후 윤 전 대통령의 출석 여부와 추가 구속영장 청구가 정국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특검의 신병확보 및 소환 조치가 실제 정국 격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번 영장 청구 이후 특검은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전반에 대한 수사 확대와 주요 인물 소환을 신속하게 진행할 방침이다. 정치권은 특검 수사 상황과 윤 전 대통령 대응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