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가 먼저 100만원대 화장품 선물”…이배용, 금거북이 전달 대가성 부인
‘금거북이 인사 청탁’ 논란을 둘러싸고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과 김건희 여사의 진술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대형 선물이 오간 정황이 드러나자 정치권의 갈등이 격화되고, 특검팀의 수사 방향에 여론의 이목이 집중된다.
이배용 전 위원장 측은 17일 언론 공지에서 “2021년 12월 또는 2022년 1월께 김건희 여사로부터 시가 100만원대 화장품 세트를 먼저 선물로 받았다”며 “2022년 3월 하순 답례 및 당선 축하 의미로 비슷한 가격대의 선물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선물은 190만원 상당의 금거북이로 지목된다. 변호인은 “이 과정에서 김 여사에게 어떤 청탁이나 적격성 검토서를 전달한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 전 위원장은 앞서 6일과 13일 민중기 특별검사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선물 수수 경위를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특검팀은 금거북이 선물이 국가교육위원장 임명 등 인사 청탁의 대가가 아니었는지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이 2022년 4월 12일 서울 은평구 진관사에서 김 여사에게 인사 관련 자료를 전달했으며, 같은 달 26일에는 코바나컨텐츠 사무실에서 금거북이를 건넨 것으로 보고 있다. 이어 6월 3일에는 자신의 업무 능력을 담은 ‘적격성 검토서’를 넘겼고, 이 무렵 조선 후기 문인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복제품도 전달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 6월 10일에는 윤핵관으로 불렸던 고 장제원 전 의원으로부터 국가교육위원장 내정 사실을 들었으며, 9월 22일엔 김 여사 측에 한지 복주머니도 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배용 전 위원장은 2022년 9월 27일 윤석열 정부의 첫 국가교육위원장으로 공식 임명됐다. 특검팀은 한지 복주머니와 ‘세한도’ 복제품에 각각 21만여 원, 50만여 원의 가치를 매겼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 전 위원장이 전달한 일련의 선물에 인사 청탁 대가성이 있었는지 여부에 앞서, 여권 고위 인사 및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와의 교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특검팀이 대가성을 인정할 경우, 이 전 위원장의 신분은 참고인에서 피의자로 전환될 수 있다.
이날 국회는 이 사건을 두고 특검의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면서도 여야 모두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정치권은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의 해명이 사법적 판단을 거치게 될 전망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