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혁명, 당원 주권 시대 선언”…정청래, 민주당 전당원투표 논란 정면돌파
지방선거 공천룰 개정 문제를 두고 더불어민주당 내 충돌이 이어졌다. 정청래 대표가 ‘공천 혁명’을 내세웠지만, 투표 참여 자격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당원 주권 강화라는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 당 지도부에 대한 불신 논란도 함께 터져 나왔다.
정청래 대표는 18일 오전 국회에서 전국기초광역의회의원협의회와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 “당원 주권 시대를 연다”며 지방선거 공천룰 개정을 ‘공천 혁명’으로 규정했다. 그는 “풀뿌리 민주주의, 직접민주주의 차원에서 권리당원 투표로 기초·광역 비례대표를 선출한다”면서 공천 제도의 근본적 쇄신을 강조했다. 이어 “예비 경선도 권리당원 100%로 치르며, 내일부터 이틀간 당원 의사를 묻는 절차가 진행된다”고 예고했다. 정 대표는 “당원 의사를 참고해 중앙위에서 최종 결정이 내려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투표 자격을 ‘6개월 이상 당비 납부’ 기준에서 ‘10월 한 달 당비 납부’로 완화한 점을 두고 당내 반발이 거셌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기존 관행과 다르며 지도부 신뢰를 흔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정청래 대표 체제에서 유입된 신규 당원을 겨냥한 조치란 주장도 제기됐다. 당원 투표 권리 기준 변경이 지지층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배경으로 깔려 있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최근 당비를 납부한 당원은 165만 명 정도이고, ‘의견 조사’ 대상은 이들에 한정된다”면서 “의결 절차가 아니며 당원 의견 수렴 폭을 넓힌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번 전당원투표 성격과 참여자 확대 취지를 강조한 것이다. 당 지도부는 “단순 여론조사 성격이어서 당규상 기준을 완화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처럼 당헌·당규 개정 절차를 둘러싼 입장차가 노골화되는 가운데, 일부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집단 이익’과 ‘직접 민주주의’의 충돌에 대한 논의도 함께 고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이라는 명분과 지도부 신뢰를 둘러싼 현실적 우려 모두가 교차한다”고 해석했다.
국회는 향후 당헌·당규 개정안과 전당원투표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 공천 시스템 논의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