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혈세버스 전락 우려”…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오세훈 시장 역점사업 집중 비판
한강버스 사업을 둘러싼 더불어민주당과 서울시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서울시의 막대한 예산 투입, 민간 특혜, 안전 우려 등 의혹이 제기되며 국정감사 현장에서 여야 간 공방이 고조되고 있다. 정치권의 집중 검증과 함께 서울시 대형 프로젝트가 다시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10월 21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을 두고 추진한 '한강버스' 사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졸속으로 추진된 한강버스의 민낯이 국감을 통해서 드러나고 있다"며 "사업에 투입된 자금의 약 69%는 서울시가 조달하고, 민간 투자 금액은 2.8%에 불과한 비정상적 구조"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간 특혜 의혹도 불거졌다"고 덧붙였다.

또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오 시장은 2007년 시행된 한강수상택시로 매년 5억∼7억원의 혈세를 낭비한 바 있다"며 "이번 한강버스도 제2의 수상택시와 같이 치적용 정치쇼 전철을 밟으며 혈세버스로 전락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은 서울시민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한강버스 사업 관련 의혹 진상 규명과 방안 마련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전날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서울시 국감에서도 한강버스 사업에 대한 공세가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천준호 의원은 시범운항 태스크포스(TF) 단계에서 이미 발전기 방전 문제가 지적됐으나 시정이 이뤄지지 않아 정식 운항에서도 고장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천준호 의원은 "오세훈 시장이 안전상황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정식 운항 결정에 나섰다"고 비판했다.
이건태 의원 역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가 한강버스 사업에 담보 없이 876억원을 대출해줬다는 점을 들어 "지방공기업법 위반이자 배임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오세훈 서울시장은 "총체적으로 안전상 문제없다고 보고받았다"며 "담보는 없지만 법적으로 상환받는 방안이 모두 강구돼 있다"고 해명했다. 오 시장은 안전 및 재정적 문제에 대해 충분히 대비했음을 강조했다.
한강버스 사업에 대한 쟁점이 커지면서 정치권은 국정감사 기간 내내 관련 논쟁을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서울시와 민주당 간 진상 규명 및 사업 구조 개선 요구가 본격화되면서, 향후 국회 논의 과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