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수수색, 진상규명을 위한 정당한 수사”…전국민 70% 동의, 정당·이념별 인식차 뚜렷
종교단체를 대상으로 한 압수수색을 두고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첨예하게 갈라서는 가운데, 전국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진상규명을 위한 정당한 수사’라고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건희 특검과 채해병 특검이 통일교, 극동방송, 여의도순복음교회 등 일부 종교단체를 상대로 강제수사를 진행한 것과 관련해, 수사의 정당성에 대한 전국적 공감대가 확인된 셈이다. 정당 지지성향에 따라 인식차가 크지만, 지역·연령·이념 구분 없이 높은 동의를 보여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꽃이 7월 25일부터 2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면접조사에 따르면, ‘진상규명을 위한 수사’라는 응답은 76.7%에 달했다. ‘종교에 대한 탄압’이라 답한 비율은 15.7%에 그쳤으며, 양측 간 인식 격차는 61%포인트로 컸다.

권역별로는 호남권에서 ‘진상규명’이 87.0%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경인권 80.9%, 충청권 78.8%, 서울 75.4%, 부울경 72.1%, 대구·경북 65.2% 등 모든 지역에서 과반 이상이 수사의 정당성에 공감했다. 특히 보수성향이 강한 대구·경북 역시 과반선(65.2%)을 넘는 등 수사 정당성에의 동의가 확산된 모습이다.
연령별로도 40대(90.6%)와 50대(87.6%)가 90%에 근접하는 찬성률을 나타냈고, 30대 79.9%, 60대 75.1%, 18~29세 69.1%, 70세 이상 54.0% 등 전 연령층에서 ‘진상규명 수사’ 인식이 우세했다. 성별 구분 없이 ‘정당하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정당 지지별로는 확연한 차이가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4.7%는 ‘진상규명 수사’라고 평가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52.1%가 ‘종교 탄압’으로 인식해 대조를 보였다. 무당층에서도 ‘진상규명’(57.4%)이 ‘종교 탄압’(19.4%)에 크게 앞섰다.
이념 성향별로 진보층 92.9%, 중도층 82.2%가 ‘진상규명’이라고 답했으며, 보수층도 ‘진상규명’이 53.5%로 과반을 넘겼다. 전문가들은 “보수 진영에서도 진상규명 필요성에 동의하는 여론이 적지 않다”며, 정치권의 해석이 새 국면을 맞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같은 기간 진행된 ARS조사(1,008명,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도 ‘진상규명 수사’(68.8%)가 ‘종교 탄압’(20.6%)을 크게 앞섰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94.1%가, 국민의힘 지지층은 59.6%가 각각 ‘진상규명’, ‘종교 탄압’으로 응답했다. 보수층에서도 ‘진상규명’이 45.7%로, ‘종교 탄압’(43.5%)보다 소폭 앞섰다.
전문가들은 “압수수색 대상이 종교단체라는 특수성이 있음에도, 시민 인식은 정치권 논란과 달리 절차적 정당성에 무게를 둔 결과”라고 분석했다. 한편 정치권 정쟁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수사 방향과 파장에 따라 향후 총선 정국에도 여진이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국회는 관련 이슈를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며, 각 정당의 대응에 국민 여론이 어떻게 반영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