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스피 3,430선 보합”…美 기술주 강세 불구 셧다운 우려에 추가상승 제약

최영민 기자
입력

코스피가 9월 30일 미국 기술주 강세에도 불구하고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와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 등으로 장중 3,440선을 돌파한 직후 보합세로 돌아섰다. 시장에서는 증시 상단이 제한되는 가운데 투자심리 위축이 감지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7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37포인트(0.01%) 오른 3,431.58을 기록했다. 개장 직후 4.79포인트(0.14%) 오르며 3,436.00까지 상승했지만 추가 상승은 힘에 부쳤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1.3원 상승한 1,400.0원에 출발했다.

코스피 3,430선 보합…美 기술주 강세에도 셧다운 우려에 상단 제한
코스피 3,430선 보합…美 기술주 강세에도 셧다운 우려에 상단 제한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같은 시각 외국인이 534억 원, 개인이 982억 원 순매수에 나선 반면, 기관은 1,567억 원 순매도세를 기록했다.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92억 원, 1,191억 원 매수 우위였고, 개인은 1,987억 원 순매도였다.

 

전날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46,136.07, 0.15%), S&P500지수(6,661.21, 0.26%), 나스닥종합지수(22,591.15, 0.48%) 등 3대 지수가 이틀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엔비디아가 2% 오르며 인공지능(AI) 관련주의 견조한 흐름을 확인시켰고 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도 1% 내외 강세를 보였다. 다만,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장중 1.6% 이상 올랐다가 0.16% 상승에 그쳤다.

 

하지만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위험이 재부각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의회 여야 지도부가 합의에 이르지 못해 투자심리 전반에 신중함이 확산됐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0.59% 오른 84,700원, SK하이닉스가 1.15% 오른 353,000원에 거래되며 동반 강세를 이어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2.36%)와 현대차(0.23%)도 오름세를 나타낸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0.40%), KB금융(-0.78%) 등은 소폭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기기(1.25%), 전기·전자(0.61%), 운송장비·부품(1.28%), 건설(0.41%)은 상승했고, 제약(-0.55%), 운송·창고(-0.71%), 증권(-1.03%) 등은 약세를 나타냈다.

 

김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과거 사례에서 증시 방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AI·반도체 등 핵심 주도의 성장 논리와 이익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현금 비중을 크게 늘리기보다는 기존 전략을 유지하는 접근이 적절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코스닥지수는 같은 시각 1.89포인트(0.22%) 내린 844.82로 하락 전환했다. 개장 직후 0.81포인트(0.10%) 오른 847.52로 출발했으나 이내 약보합세로 돌아서 투자심리 위축이 반영됐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 투자자가 1,111억 원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48억 원, 197억 원씩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주 중에서는 알테오젠(-1.50%), 에코프로비엠(-0.09%), 펩트론(-0.17%), 에코프로(-0.72%) 등이 하락했고, 파마리서치는 2.24% 오르며 일부 강세를 보였다.

 

시장에서는 당분간 글로벌 정치 불확실성 및 환율, 미국의 추가 경정 움직임 등 대외 변수가 증시 방향성에 영향을 줄지 주목하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다음 달 예정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 주요 이벤트 결과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코스피#삼성전자#미국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