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값 하루 만에 5.5% 급락”…차익 실현 매물에 연중 최대 낙폭
현지시각 21일, 미국(USA) 뉴욕 소재 거래소에서 국제 금값이 단 하루 만에 5.5% 하락했다. 이는 2020년 8월 팬데믹 시기 이후 최대 일일 낙폭으로, 귀금속 시장에 대한 투자심리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이번 변동은 차익 실현 매물 출회와 최근 위험자산 선호 현상 확산이 맞물린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1일 미국 동부시간 기준 오후 1시 45분,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4,115.26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5.5% 급락해 연중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뉴욕상품거래소의 12월 인도분 금 선물 역시 5.7% 내린 4,109.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올해 들어 약 60%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금값의 조정 국면이 본격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배경에는 미국 대형 기업들의 3분기 실적 호조 발표 이후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주식 등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된 점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단기 수익 실현을 노린 매물과 함께 디왈리(인도 힌두교 최대 축제) 기간을 맞아 세계 주요 금 소비국인 인도 시장이 휴장에 들어간 것도 유동성 부족으로 연결됐다. 국제 은 현물 가격도 같은 시점 7.6% 급락해 온스당 48.49달러를 기록, 금보다 더 큰 하락률을 나타냈다.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선임 애널리스트는 “이번 주 들어 위험선호 심리가 귀금속 시장에 약세를 불러오고 있다”고 현 상황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는 24일 예정된 미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와 28~29일 열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로 쏠리고 있다.
당초 지난 15일 발표 예정이던 미국 노동통계국의 CPI는 연방정부 임시 셧다운 여파로 9일 늦춰진 24일 공개된다. 향후 연준의 금리 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통상 금은 이자나 배당금이 없어 실질금리 변동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실질금리가 내리면 금값이 오르고, 오르면 반대로 하락 압력이 커진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들은 이번 조정이 연말로 갈수록 시장 금리, 투자심리, 글로벌 경제지표에 따라 추가 등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며 변동성 확대를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금값의 급등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연준의 통화정책과 글로벌 경기 흐름이 향후 귀금속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금값 조정이 실물·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