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선도 괜찮다”…대체로 만족을 택한 75년생들의 오늘
요즘 ‘최선’이 아닌 ‘차선’을 택하는 사람들이 늘었다. 75년생에게는 예전엔 타협이라 여겼던 선택이, 지금은 스스로를 지키는 삶의 일상이 되고 있다.
띠별 오늘의 운세 중 “75년생, 대체로 만족인 차선으로 돌아서자”라는 문장이 유독 눈길을 끈다. 마흔을 넘긴 이들이 직장이나 가정, 일상에서 완벽은 내려놓고 적당한 만족에 머무르는 풍경. 실제 “예전엔 늘 최선을 쥐어야 한다고 조급했지만, 지금은 ‘이 정도면 충분하다’며 스스로를 다독인다”는 세대 체험담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감을 얻고 있다.

이런 변화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한 취업 포털의 조사에 따르면 40~50대 직장인 중 56%가 ‘성공보다 안정, 절반의 만족’을 선택한다는 답을 내놨다. 완벽함을 강박처럼 좇기보단, 자존과 실속을 중시하는 태도다.
전문가들은 이 흐름을 ‘충분함의 심리’라 부른다. 사회심리학자 김윤미 상담가는 “나이가 들수록 선택의 피로와 후회가 따라오는 게 자연스럽다”며 “욕심내지 않고, 가능한 만큼만 이루자는 마음이야말로 자기자비의 첫걸음”이라고 표현했다.
댓글 반응도 흥미롭다. “실패가 두렵지 않으니 한결 편하다”, “이제야 마음이 홀가분해졌다”는 공감과 “주변 시선보다 내 만족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뒤따른다.
곡선처럼 이어지는 인생길에서 ‘차선’은 끝이 아닌 또 다른 출발점이 된다. 완벽을 내려놓았지만, 여전히 삶의 균형을 탐색하는 75년생의 오늘.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