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150억달러 수출 목표”…김민석 총리, 글로벌 푸드·AI 제조혁신 전략 강조
K-푸드의 수출 확대와 제조업 혁신을 둘러싼 전략이 다시 정국의 중심 의제로 부상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경남 밀양의 삼양식품 밀양공장에서 “2030년까지 150억달러 수출을 달성하겠다”며 ‘글로벌 넥스트 K-푸드 프로젝트’ 추진을 공식화했다. 식품과 문화, 그리고 첨단 제조업을 아우르는 이번 발표는 총리의 현장 행보와 맞물려 산업계와 경제 분야 전반에서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국정현안 관계장관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정부의 K-푸드 확산 정책 방향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해외 인증과 마케팅 지원으로 신시장을 개척하는 한편, 물류 인프라와 지식재산권 등 원스톱 수출 지원체계를 갖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콘텐츠·관광 등 K-문화와 연계하고 푸드테크 같은 기술 혁신 지원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유망 K-푸드 선정과 지역별 확산 전략 수립을 통해 특정 품목에 쏠린 수출을 다변화할 방침이다.

이어 김 총리는 “식품 산업은 내수 산업을 넘어 K-문화를 대표하는 대한민국의 얼굴이 됐다”며 “K-푸드의 확산은 문화산업, 농수산업, 제조업 전반에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내주 개최 예정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와 연계한 대외 홍보 전략도 밝혔다. “기업, 정상 등 관계자들이 K-푸드의 매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AI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3.0 전략도 주요 논의 의제로 다뤄졌다. 김민석 총리는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공장 1만2천개를 추가 도입하고, 맞춤형 AI 전환을 통해 산업체계의 대전환을 추진하겠다”며 “전문기업 지정제도와 창업-해외진출 단계별 지원도 준비하고 있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형 스마트공장’ 모델 확대,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률 10% 목표, 산업재해 20% 감축 정책 등 구체적 추진 방향도 제시했다. 또 K-푸드 등 유망 업종을 대상으로 특화된 AI 솔루션 도입도 지원한다고 밝혔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회의 직전 밀양공장의 스마트 생산공정 점검과 불닭볶음면 시식 행사에도 참여하며 “이곳은 단순 생산시설이 아니라 한국인의 매운맛과 K-푸드 글로벌 경쟁력의 상징”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K-푸드 수출과 AI 지원 정책이 산업 다각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김민석 총리는 현장 소통과 정책 연계 확대 의지를 재차 드러내며 “K-푸드 글로벌 도약과 스마트 제조혁신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정부는 K-푸드 신시장 개척과 지역별 전략 확정, 스마트공장 추가 확충 등 구체적 실행 과제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정치권은 정부 경제정책 의제와 민생 체감 효과를 놓고 추가 논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