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P 양극재 기술력 공개”…엘앤에프, DIFA 2025서 차세대 순환경제 전략 제시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중심의 기술력과 순환경제 전략이 공개되며 국내 전기차 소재 업계의 경쟁력 강화에 기대가 커지고 있다. 22일부터 25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DIFA 2025)’에서 엘앤에프는 ‘리딩 더 퓨처’라는 주제로 독자적인 생산 공법을 적용한 LFP 양극재, NCM-LFP 투 트랙 전략, 그리고 차세대 배터리 소재 포트폴리오와 순환경제 모델을 선보였다.
엘앤에프에 따르면, 자체 개발한 LFP 양극재는 중국산 3세대 제품 수준의 압축 밀도와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 프리미엄 전기차는 물론, 보급형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까지 아우를 수 있도록 NCM-LFP 양극재 투 트랙 전략도 공개했다. 또, 전고체전지(ASSB), 나트륨이온전지(SIB), 리튬망간리치(LMR) 등 차세대 샘플을 대거 전시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엘앤에프는 관계사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LLBS)과 협력을 통해 전구체 공급부터 폐배터리 리사이클링까지 포괄하는 순환경제 생태계도 소개했다. 업계에서는 양극재 기술 국산화와 친환경 가치사슬 확장이 국내 배터리 소재 산업의 성장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지역 인재 육성과 조직문화 확산 차원에서도 의미를 더했다. 엘앤에프는 대구 지역 대학생 20여 명을 대상으로 이차전지 산업 전문 교육을 운영하고 임직원 가족 참여 이벤트까지 마련하며 지역사회와 내실 있는 소통을 이어갔다.
이차전지 순환경제 생태계 포럼에서는 최영렬 사업개발팀 파트장이 ‘밸류체인’을 넘어 ‘밸류웹’으로 진화하는 산업 구조 변화를 진단하며 신성장전략을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엘앤에프의 생산공정 혁신과 순환경제 기반이 소재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최수안 엘앤에프 대표이사는 “독자적인 기술 혁신과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 도전을 극복하고 고객·지역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며 미래 성장 비전을 강조했다.
향후 국내 배터리 소재·자원 순환 시장은 기술 내재화 속도, 글로벌 공급망 재편 여부에 따라 더욱 경쟁적인 구도로 전개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