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베레모 단계적 폐지”…육군, 전투모 기본 군모 추진 속 상징성 논쟁

윤지안 기자
입력

육군의 군모 변경을 두고 군 상징성과 실용성 사이 충돌이 드러났다. 2027년 전투모 기본 군모 지정 방안을 두고 국회 국방위원회와 육군본부, 예산 당국이 상반된 의견을 내놓으면서 조달체계 변화와 군복 문화의 전환점이 예고되는 분위기다.

 

26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육군본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육군은 올해 9월부터 전투모와 베레모를 병행 착용하는 시범 적용을 도입했다. 이어 오는 2027년에는 전투모 보급을 현재 1개에서 2개로 확대하고, 전투모를 기본 군모로 지정하는 방안까지 추진되고 있다. 육군은 "베레모가 상징성은 있으나 폭염에 취약하고 착용 및 관리가 불편하다"며 군 효율성을 우선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현장 장병 설문조사에서도 변화 바람이 뚜렷하다. 올해 1월 육군이 1사단 등 8개 부대 1천7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장병 93%가 전투모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군모 단일화 역시 65%의 찬성율을 보였다는 점이 이번 개편 논의의 근거가 됐다.

 

예산 및 조달 문제가 제기되면서 정책 추진 동력도 커졌다. 현재 베레모와 전투모 병행으로 인해 중복 예산이 투입되니, 지난해에만 베레모 조달에 11억원이 지급됐다. 특히 베레모 제작업체가 단 한 곳에 불과해 조달 지연과 품질 개선의 한계가 반복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육군은 현장 민원에 따라 그간 군모 착용 지침을 단계적으로 완화해왔다. 2020년 전투모를 특수군모로 도입하고, 흐리거나 비 오는 날에는 영내에서 전투모를 허용했다. 2021년부터는 외출, 외박 등을 제외한 영내·영외 모두에서 전투모를 쓸 수 있게 했으나, 혹서기 베레모 관련 불만과 민원은 지속됐다.

 

군은 올해 9월부터 1단계로 휴가 및 외출·외박 시에도 전투모와 베레모 혼용을 시범 적용 중이다. 11월까지 시범 결과를 분석해 국방부에 군인복제령 개정 건의 계획도 밝혔다. 이후 2027년부터는 전투모 기본 보급량을 늘리고, 베레모의 단계적 폐지를 공식화할 방침이다.

 

박선원 의원은 "불편한 군모 착용을 강요하기보다 장병들이 편하게 쓸 수 있는 군모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육군의 상징성은 살리면서 현실적 어려움에 부응하는 새로운 군모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회는 육군 군모 개편을 두고 효과와 상징성 논란을 이어갔으며, 향후 시범운영 결과에 따라 군인복제령 개정 논의가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육군#전투모#베레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