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APEC 앞둔 무력 도발”…여야,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규탄 목소리

조현우 기자
입력

한반도 안보를 둘러싼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22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소식이 전해지면서 여야는 한목소리로 강력 규탄하며 정치권의 대응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발사라는 점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9일 앞둔 시점이라는 사실에 정치권의 갈등과 책임론이 맞물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주요 해외 정상들이 모이는 APEC 정상회의를 불과 9일 앞둔 시점에 감행된 북한의 군사 도발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북한은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모든 행위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우리 군은 추가 발사에 대비해 감시와 경계를 강화하고, 한미일 공조 하에 모든 정보를 긴밀히 공유하며 만반의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군의 대비 태세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역시 단호한 목소리를 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아시아태평양정상회의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모두 참석하는 시점에 감행된 이번 도발은 명백한 무력시위이자 심각한 안보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변인은 "노골적인 도발 앞에서 정부가 또다시 '평화'라는 이름의 침묵으로 일관할 것인가"라며, 이재명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를 비판했다. 또한 "언제까지 '대화와 인내'라는 미명 아래 '굴욕적 저자세'를 고집할 것인가"라고 날을 세웠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8시 10분께 북한 황해북도에서 동북 방향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수발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실험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지난 5월 8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복수 발사 이후 167일 만이다.

 

정치권의 초당적 대응 요구와 아시아·태평양 주요국 정상들이 모이는 외교적 분수령을 앞둔 상황이 겹치면서, 정부의 향후 대응과 한미일 안보 협력의 실효성에도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날 국회는 북한 도발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며, 정치권은 한반도 안보 위기 해소 방안 모색을 위한 논의에 본격 착수할 전망이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북한#이재명#ap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