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증 진위 인증 재개”…행안부, 비대면 본인확인 정상화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시스템이 정상화되며 금융과 통신 등 산업 현장에서 비대면 본인 확인이 다시 가능해졌다. 지난 30일 오후 1시, 행정안전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일시 중단됐던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서비스를 대체 장비를 통해 복구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은행, 증권사, 통신사 등에서는 신규 계좌 개설, 모바일 가입 등 비대면 및 대면 본인 확인 업무를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업계는 이번 신속한 복구 조치가 금융과 통신 등 핵심 서비스의 신뢰도 향상과 디지털 인증 편의성 회복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이번에 재개된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서비스는 신분증의 위·변조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증하는 핵심 인프라다. 인공지능 기반 위변조 판독기술과 실시간 연계 시스템이 연동돼, 금융기관, 통신사, 각 행정기관에서 신원 인증 절차에 활용된다. 특히 모바일 앱이나 웹을 통한 원격 인증에서도 해당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디지털 신원 인증 기술 발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시스템 장애가 발생했던 기간엔 행정기관 내부용 인증만 일부 가능했고, 금융기관과 통신사를 포함한 외부 사용자는 대면·비대면 인증이 부분적으로 제한됐다. 이는 최근 비대면 계좌 개설, 모바일 본인 인증 등 비대면 경제 환경에서 신분 확인의 필수 시스템이 한층 긴요해졌기 때문이다. 복구 작업에는 백업 장비 이중화와 비상대응 프로토콜이 적용됐다.
주요 글로벌 국가들도 정부 및 공공기관의 신원 확인 플랫폼 안정성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유럽연합, 미국 등은 사설 인증 수단과 국가 인증서 연계를 강화하고, 장애 발생시 신속 복구 체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하는 추세가 뚜렷하다. 행안부 역시 “모든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시스템 복구에 나섰다”며, 국민 불편이 최소화된 점을 강조했다.
이번 사례는 디지털 신원 인증 인프라의 연속성과 안정성이 산업 전반의 신뢰와 직결된다는 점을 재확인시켰다. 한편, 전문가들은 “향후 더 복합적 디지털 신원체계가 도입됨에 따라 시스템 이중화와 데이터 백업, 위협 대응 체계 강화가 핵심 과제로 부상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IT·금융업계는 이번 복구 조치가 신원 확인 시장 내 새로운 안정성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