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실무 플랫폼 혁신”…NHN애드, 오픈애즈 전면 개편으로 업무 패러다임 변화
AI 기반 실무 지원 기술이 광고·마케팅 산업의 업무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다. NHN애드는 19일 자사 마케팅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오픈애즈’를 인공지능(AI) 중심의 실무 생산성 플랫폼으로 전면 개편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으로 마케팅, 기획, 디자인 등 다양한 직군의 실무자들은 한층 진화한 AI툴 활용 환경을 경험할 수 있게 됐다. 업계는 NHN애드의 오픈애즈 개편을 AI 기반 업무 혁신 경쟁의 본격적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주요 변화는 실무 특화 AI툴 정보를 수집·제공하는 ‘AI툴’ 신설, 마케터·기획자·디자이너 등 세분화된 직무별 프롬프트 큐레이션,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경험(UX)을 대폭 개선한 점이다. 사용자는 챗GPT 등 대중적 AI 서비스뿐만 아니라, 덜 알려진 실무 전용 AI툴도 쉽게 비교·선택할 수 있다. 각 직무에 맞춘 프롬프트를 적용해 실제 업무 현장에 특화된 인공지능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전까지의 마케팅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와 차별성을 보인다.

NHN애드는 “AI툴과 프롬프트의 고도화, 맞춤형 추천 기능까지 통합해 실무자가 필요한 정보와 솔루션을 가장 빠르고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기존의 광고상품 비교, 트렌드 인사이트 제공에 머물렀던 서비스 구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활용 가능한 업무 보조 플랫폼으로 진화했다는 평가다. 이번 개편이 실무자 창의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여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마케팅 자동화나 실무 AI툴 경쟁이 활발한 상황이다. 북미·유럽 주요 기업들이 사내 업무 플랫폼에 특화된 챗봇, 프롬프트 엔진을 도입 중인 가운데, NHN애드의 행보가 국내 마케팅·IT 업계의 경쟁 구도를 촉진할 가능성도 있다.
아직 국내 데이터·AI 서비스의 실무 업무 적용에는 개인정보 보호, 프롬프트 적정성 등 제도적 고려도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AI툴의 실무 플랫폼화는 기술 경쟁뿐 아니라 사용자 경험과 신뢰도, 데이터 관리 체계 등 복합적 검증이 필수”라고 본다.
NHN애드는 21일부터 23일까지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열리는 ‘2025 일잘러 페스타’에서 새로운 오픈애즈를 선보인다. 산업계에서는 이번 플랫폼 혁신이 실제 현장에 얼마나 깊이 뿌리내릴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