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식탁, 식중독 제로 도전”…식약처, 현장 안전관리 강화
식품위생·안전관리 기술이 국제 정상회의의 안전 기준을 높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APEC 2025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김민석 국무총리와 오유경 식약처장이 행사장 주요 식음료시설을 직접 점검했다고 밝혔다. 조리장과 식재료 보관창고 등 식음료 전 과정을 사전 진단, 국내외 정상급 인사를 맞는 국제행사에서 안전 견고성을 높인 대표 사례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현장 위생 점검과 신속검사차량 운영이 대형 국제행사 ‘식품 안전 경쟁’의 신호탄이 된다는 분석이다.
이번 점검의 핵심은 첨단 식중독 신속검사차량 7대를 회의장 인근에 배치, 식재료 입고-조리-운반까지 실시간 검사를 강화한 점이다. 신속검사차량은 식중독균 17종과 노로바이러스까지 최대 4시간 내 검사가 가능해, 기존 표본검사 대비 안전 대응 속도와 정밀도를 크게 높였다. 오유경 처장은 보관창고의 냉장온도, 식재료 위생·소독 현황, 개인위생관리 등도 직접 확인했다. 최근 3회 APEC 고위관리회의에서 식중독 무사고 실적을 기록한 바, 선진 검사 시스템이 실효성을 입증받았다는 평가다.

이러한 기술·관리 고도화는 공식 만찬, 휴게식음료, 배식 등 행사장 내외 전 구간에 적용된다. 식분석, 예측검사, 조리 종사자 교육, 사전 검식이 병행돼 국제 참가자 안전 경계망이 기존 대비 한층 촘촘해졌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식중독 등 안전사고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줄이고, 신뢰성 있는 식음료 제공이 국제교류시장 전반의 신뢰지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주요 행사 역시 비슷한 실시간 검사·관제 시스템 투입 사례가 늘고 있다. 미국, 일본 등에서는 올림픽·G20 등 대형 이벤트마다 검사차량·IoT 기반 위생 모니터링이 표준화되는 추세다. 식약처의 이번 도입 방안은 글로벌 위생관리 수준과 비교해도 독자적 현장대응 체계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국내에서는 식품위생법, 식중독예방법 등 법령에 따라 대형 행사 식음료 안전관리를 의무화하고 있다. 식약처는 행사 종료 시까지 조리종사자 교육, 식재료 상시 검수와 함께 식중독 예방 홍보까지 연계, 정책적·산업적 지원 양면에서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전문가들은 “실시간 위생관리와 신속검사 체계는 국제행사 외 국가 단위 급식, 병원, 학교 등으로 점진적 확산될 공산이 크다”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현장 기술이 실제 식품안전 관리체계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