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산하기관 보안 역량 강화”…과기정통부, 사이버 위협 현장 점검
사이버 위협에 대한 공공기관의 대응이 산업과 사회 전반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는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산하기관의 정보보안 역량 점검에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구혁채 제1차관이 우주항공청을 포함한 22개 외청·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정보자원 관리체계와 사이버 위협 대응 실태를 현장 점검했다고 16일 밝혔다. 최근 사이버 공격 수법이 한층 고도화되면서, 공공기관의 데이터 보호와 신속 대응 능력이 곧 국민신뢰로 이어진다는 판단이 반영된 조치다. 업계는 이번 점검이 공공부문 보안 경쟁력 제고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본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각 기관이 직면한 보안관리 현황과 실무 경험을 공유하는 한편, 정보보호 체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이 다각도로 논의됐다. 특히 주요 기관들이 현장에서 직면하는 애로사항과 실질적 어려움이 심도 있게 다뤄졌고, 산하기관 간 협업을 통한 대응 네트워크 강화가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이러한 논의는 연계된 기관망을 통한 위협정보 신속 전달, 침해사고 대응훈련 내실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등 기술·정책적 개선 방향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구혁채 제1차관은 변화하는 정보보안 환경과 사이버 위협의 정교화에 발맞춰 “공공기관의 보안 역량은 곧 국민 신뢰와 직결되는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철저한 사전 대비 체계 구축과 기관장 직접 점검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정보보호는 물론 연구실 안전과 재난·재해 등 생명과 직결된 안전관리 분야 전반에 걸친 상시 점검 및 적극적 대응을 당부했다.
특히 이번 점검은 기존 매뉴얼 중심의 대응 방식에서, 기관 간 정보공유와 현장실습 중심으로 보안관리 혁신을 모색한 점이 눈에 띈다. 글로벌 공공기관들도 사이버 보안 협력 체계 강화에 집중하는 추세에서 국내 기관의 대응 확대가 시급하다는 전문가 지적도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 영국 국가사이버보안센터(NCSC) 등 선진국 사례가 참고 모델로 부각된다.
공공기관 정보보호 체계는 개인정보 및 국가 핵심기반 보호의 첨병이자, 산업 전반의 사이버 위기 확산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한다.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현장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과 기술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계는 이번 현장 점검이 공공 사이버보안 체계 혁신의 마중물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