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 2채 실거주…한두 달 내 정리” 이찬진, 국감서 재산‧다주택 논란 해명
강남 아파트 2채 보유 논란을 둘러싸고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국회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국정감사장에서 이 원장은 실거주 입장과 함께 “한두 달 내 정리하겠다”고 밝히며, 정무위원회의 집중 질의에 해명을 이어갔다. 거액의 재산, 400억원 성공보수, 이재명 대통령과의 친분 등 개인 관련 질의도 이어지며 정치권의 파장이 커지는 양상이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강남 지역 아파트 2채 보유에 대한 논란에 “가족과 함께 실거주 중”이라며 “국민들의 눈높이에 부합하도록 한두 달 안에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한 채는 자녀에게 양도하고, 다주택 보유가 부적절하다는 국민 정서를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이어 “염려를 끼쳐 송구하다”고 덧붙였다.

보유 아파트와 관련해서는 “서초구 우면동 대림아파트로 인터넷 검색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가족이 공동 거주해 증여세 탈루 우려는 없었다는 점도 함께 강조했다. “추가로 구입한 아파트 한 채는 자녀가 창업해 사용하다가 코로나로 폐업한 뒤, 배우자의 작업실·아이들 학습공간·서재 등으로 활용해왔다”고 구체적인 사용 내역을 밝혔다.
정무위원회에서는 이 원장의 400억원 성공보수 논란, 이재명 대통령과의 인연도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이 “400억원을 어디에 보관하냐”고 묻자, 이 원장은 “대부분 금융기관에 있다”며, 보유 재산 규모는 “300억원에서 400억원 사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5억원을 대출해준 사실, 후보 시절 대북 송금 사건 변호 이력도 모두 시인했다.
금감원 조직개편안 및 공공기관 지정 이슈에 대해서는 “기존 소비자 보호 관행이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했다”며 조직 내부의 성찰 필요성을 인정했다. 그러나 공공기관 지정 관련해서는 “금융감독의 독립성, 중립성 측면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며 “심각한 우려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 사례를 거론하며, 공공기관 적용 배제 입장도 분명히 했다.
금감원 임원 인사 시기와 방식에 관해서는 “국정감사 직후 인사를 계획하고 있다”며 업무 연속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근 금융사 해킹 등 보안 사고와 관련해 디지털 금융 인프라 투자가 부족하다며 ‘디지털금융안전법’ 도입 계획도 내놨다. 이 원장은 “금감원과 금융권 모두 보안 인프라가 열악하다”고 진단하며, 강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가상자산 규제와 관련해서도 “자율규제의 한계를 절실히 느낀다”며 “자본시장법에 준하는 감독·규제 단계로 입법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협의, 국제 사례 검토 노력도 병행 중임을 강조했다. 삼성생명 ‘일탈회계’ 문제에 대해선 “국제회계기준 준수가 원칙”이라고 했으며, 사모펀드 관리감독 강화, 국민연금의 차입매수펀드 지원 우려 등 금융·감독 환경 전반에 대한 점검도 예고했다.
BNK금융지주 회장 선거 방식을 두고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이 질의하자, 이 원장은 “이사회 구성 과정 등 금융의 공공성 훼손 우려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는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의 다주택, 고액재산, 금융감독 논란을 집중 질의하며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금융권 및 자본시장 제도 개선, 금융감독의 독립성 논의는 오는 임원 인사와 후속 국감에서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