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공사 액트지오 선정·임원 승진 논란”…김정관, 감사원 공익감사 청구 지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둘러싼 논란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감사 청구 지시가 맞붙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드러난 자문사 액트지오 선정 과정과 담당 임원 인사, 성과 평가 의혹에 대해 산업부가 감사원에 본격 조사를 의뢰하기로 하면서 정치권 공방이 고조되고 있다. 여론과 업계의 시선 역시 사업의 진정성과 과정 투명성을 둘러싸고 촉각을 곤두세운 양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김정관 장관의 지시에 따라 한국석유공사에 대한 공익감사를 감사원에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감에서 여당 위원들은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의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 액트지오의 자문사 선정 과정에 대한 철저한 진상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왕고래 유망구조의 첫 시추 결과 경제적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판정에도 불구하고 담당팀과 임원이 최고 등급의 평가를 받고, 임원이 부사장으로 승진한 점을 집중 추궁했다.

산업부 측은 "관련 규정과 절차에 따라 신속하게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최근 불거진 논란에 대한 조속한 해소 의지를 내비쳤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는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과정에서 제기된 의혹 조사와는 달리, 외국 자본 유치 등 한국석유공사의 자체적 개발 자체에는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김정관 장관도 지난 13일 국정감사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의 여러 유망구조 중 대왕고래에서 시행한 첫 시추 실패가 곧 사업 전체의 실패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자원 개발 역사는 무수한 지고지난한 역사의 과정"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개별 결과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전략적 자원 개발의 중요성과 인내를 강조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석유공사는 지난달 동해 심해 가스전 2차 탐사시추부터 해외 파트너를 모색하는 국제 입찰을 마감한 상태다. 업계에서는 영국 BP, 미국 엑손모빌 등 복수의 글로벌 석유기업이 입찰에 참여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초 회사는 이르면 이달 내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해 실무 협상에 들어갈 계획이었다. 그러나 산업부의 공익감사 청구로 인해 해당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치권은 석유공사 사업 추진의 타당성, 책임성 문제를 두고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여야 공방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회는 수사와 정책 감시를 병행하며 이번 사안을 추가로 심의해 나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