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병목 해소”…SK, 오픈AI·AWS 협력 강화로 초대형 인프라 구축
AI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공급 병목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인 가운데, SK그룹이 오픈AI, AWS 등 글로벌 AI 기업과의 동맹을 확대하며 인프라 효율 경쟁에 본격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SK AI 서밋 2025’에서 제시한 대규모 협력 구상이 국내외 AI 인프라 투자와 기술경쟁 구조에 큰 변화를 예고한다고 평가했다.
최 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급증하는 AI 수요가 공급 역량을 넘어서고 있다며, GPU·메모리·전력·공장 리드타임·지정학 등 복합적 병목 원인을 언급했다. 그는 “AI 문제는 AI로 풀어야 한다”며, 완전 자율화된 AI 반도체 공장 구축과 효율 경쟁 전환 필요성을 역설했다. 자원이 부족한 국가나 기업도 손쉽게 AI에 접근할 수 있는 생태계를 목표로 삼겠다고도 밝혔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SK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국 내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올트먼 CEO는 “SK의 기술력은 오픈AI의 글로벌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SK하이닉스에 월 90만 장 규모의 HBM 공급을 요청했다고 애써 언급했다. AWS 앤디 제시 CEO도 SK와의 협력 사례로 울산 AI 존 구축을 들어, 산업 현장 특화 인프라와 대규모 AI 운영 노하우 공유의 의미를 짚었다.
최 회장은 메모리·공장 인프라 확충 계획도 공개했다. 초고용량 메모리칩 개발, 낸드 기반 대안 기술, 청주 M15X·용인 클러스터 등 대형 생산라인을 통해 AI 반도체 공급난에 한발 앞서 대응할 방침이다.
업계는 SK가 글로벌 AI 기업과의 수직적 협력 네트워크를 본격화할 경우, 메모리 수요 폭증·대규모 투자가 아시아는 물론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체에 파급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공급 병목 장기화 우려 속 SK의 협력이 시장 안정과 기술 혁신에 일조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정부 역시 AI 반도체 공급망 안정 대책, 인력 양성·규제 완화 등 후속 대책 검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SK는 반도체 투자 계획을 연이어 발표해 왔다.
최근 1~2년 새 글로벌 AI 빅테크와 반도체 기업 간 협력이 촉진되며, 국내 AI 클라우드·메모리 시장 경쟁 역시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정책 방향은 AI 반도체 공급망, 글로벌 투자 확대, 기술 내재화 등 주요 이슈에 좌우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