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반도 평화 위해 유엔 역할 절실”…이재명, 구테흐스에 ‘END 구상’ 지원 당부
정치

“한반도 평화 위해 유엔 역할 절실”…이재명, 구테흐스에 ‘END 구상’ 지원 당부

오예린 기자
입력

한반도 비핵화를 둘러싼 외교전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 직후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만나한반도 평화 구상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역할을 적극 촉구했다. 남북관계·대북정책을 둘러싼 각국 정상과의 연쇄 회담도 이어지며, 공급망·원전 등 실리 외교 이슈 역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접견했다. 이날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를 축으로 하는 ‘END 구상’을 밝힌 직후 이뤄진 만남이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는 국제사회의 평화·안보와도 연계돼 있다”며 “남북이 갈등과 대립을 넘어 대화와 협력의 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유엔이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이 “현명한 접근”이라고 평가했고, “유엔 역시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브리핑에서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END 이니셔티브가 한반도 안정과 평화에 기여하길 바란다는 뜻도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의 국제사회 역할 확대에 대한 구상도 재확인했다. 유엔 개혁에 대한 지지와 함께, “원조 받던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성장한 한국이 더 큰 기여를 하겠다”고 밝혔으며, 한국 인재의 국제기구 진출 확대에 지속적 관심을 요청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분열된 국제사회에서 한국 정부가 균형 잡힌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인도적 지원 및 글로벌 현안 대응 분야에서의 한국 기여를 높이 평가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갖고 양국 간 철도·공항·도로 등 인프라,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양국이 공급망과 인프라에서 협력을 확대하면 시너지 효과가 크다”는 게 이 대통령의 발언이다. 우즈베키스탄 내 약 17만 명의 고려인에 대한 관심과 지원도 요청했다. 양 정상은 내년 한국에서 추진 중인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에도 협력키로 했다.

 

체코와의 정상회담에서도 원전·방산 등 경제 실리 외교 이슈가 도마에 올랐다.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이 두코바니 원전 최종 계약에서 “한국 기업의 우수성이 높이 평가됐다”고 밝히자, 이재명 대통령은 “협력이 원전에서 반도체·전기차·방산 등으로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위 실장은 두코바니 원전 최종 계약 이행 방안은 물론, 체코의 제조업 역량·투자 매력 등을 거론하며 양국 협력 확대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는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환경 변화에 맞춰 다자외교·경제협력을 병행하는 전략을 예고한 셈이다.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END 구상’ 및 원전·공급망 연쇄 회담이 내년 총선 등 국내 정치 지형에도 어떠한 파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오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구테흐스#end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