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日 군함도 조치 미흡 땐 유네스코 직접 관여해야”…박상미 대사, 세계유산위서 일본 책임론 강조
정치

“日 군함도 조치 미흡 땐 유네스코 직접 관여해야”…박상미 대사, 세계유산위서 일본 책임론 강조

송우진 기자
입력

한일 간 역사의식 충돌이 다시 국제무대에서 부각됐다. 박상미 주유네스코대사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일본이 하시마(군함도) 등 근대산업유산의 강제동원 역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협의 진전이 없으면 유네스코가 직접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일본의 미흡한 조치가 이어질 경우 국제사회의 개입이 불가피하다는 한국 정부 입장이 더욱 분명해졌다.

 

이날 회의에서 박 대사는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일본의 산업유산 관리에 대한 실질 논의가 이번에도 의제가 되지 못한 점을 강조했다. 앞서 7일 열린 세계유산위 회의에서도 한국은 ‘위원회 결정 이행 평가’의 정식 의제 채택을 요구했으나, 일본의 반대로 표결 끝에 무산된 바 있다.

박상미 대사는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유산은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해석 전략 개발이 위원회에서 네 차례나 공식적으로 요구됐지만, 10년이 지나도록 이행이 미흡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위원회 결정의 온전한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은 책임 있고 건설적인 자세로 한일 협의를 계속하겠지만, 일본 역시 이런 과정에 책임 있게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그는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 해석전략의 미비점이 시정되지 않는다면, 위원회는 지속적 책임의 일환으로 관여를 계속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일본 내 정보센터가 조선인 강제노동 등 역사적 사실을 누락한 점을 국제사회 차원에서 시정할 필요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실제, 일본은 2015년 군함도 등 유산 등재 당시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알리겠다고 약속했으나, 이후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일본 정부의 후속조치 이행을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본의 모호한 태도가 이어질수록 한일 양자 협의뿐만 아니라 국제기구 차원의 강한 개입 요구도 커질 전망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한일 협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면서도, 진전이 없을 경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를 통한 압박도 병행할 계획이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박상미#군함도#유네스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