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연구실 하부조직 전무”…임오경, 국악원 조직 확대 촉구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의 조직 구조가 정치권에서 또 다시 쟁점으로 떠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은 9월 11일 국회 보도자료를 통해 “국악연구실이 하부조직 없이 운영되는 유일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기관”이라며 문화정책 분야에서의 문제를 강조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임오경 의원은 “1987년 설치된 국악연구실에는 부장, 과장, 팀장 등 하부 조직이 전무하고, 학예연구관만 존재하는 기형적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임 의원은 타 기관의 연구실과 비교하며 현실의 심각성을 부각했다. 그는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의 경우 실장 직속 아래에 과장 4명, 학예연구관 8명이 있지만, 국악연구실은 실장과 3인의 학예연구관뿐”이라며 운영 체계상 차이를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이어 “유사 조직 중 국립국악원 연구실이 가장 열악하다”고 평가했다.

최근 국악연구 분야가 아카이브 사업, AI(인공지능) 플랫폼 구축 등 기존 학술·정책 영역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도 임 의원의 문제 인식과 연결됐다. 그는 “국악 연구 범위가 확대된 만큼, 시대에 맞춰 국악연구실 조직을 확대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임오경 의원은 국악의 보전·계승과 국악 문화산업 진흥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국악진흥법’ 제정안을 대표 발의해 국회 본회의 통과를 이끌었다. 이 법률 시행에 따라 국립국악원은 국악 조사 및 자료 개발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공식적 법적 지위를 확보했다.
이와 관련해 국립국악원 안팎에서는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와 함께, 현행 운영 체제의 개선 여부가 향후 국악 연구의 경쟁력 확보에 미칠 영향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조직 확대 및 인력 충원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