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지수 1,687.27 역대 최고치”…ETF 자금 유입에 코스피 대비 77.8% 급등
밸류업 지수가 지난 10월 31일 기준 1,687.27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로 뛰어올랐다. 올해 들어 밸류업 지수는 77.8% 오르며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 상승률(71.2%)을 뛰어넘었다. 전문가들은 자율 공시 확산과 밸류업 ETF 자금 유입 등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밸류업 기조의 확산이 기업가치 제고와 시장 내 대형주의 주도력 강화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한국거래소가 11월 5일 발표한 ‘월간 기업가치 제고 현황(2025년 10월)’에 따르면, 밸류업 ETF 13개 종목의 순자산총액은 1조 원까지 확대됐다. 2024년 11월 4일 최초 설정 당시 4,961억 원에서 102.2% 증가한 수치다. 공시 활성화 흐름도 뚜렷하다. 10월에는 제이브이엠의 예고공시 제출로 전체 공시기업 수가 167개사(코스피 128개, 코스닥 39개)로 늘었다. 이 가운데 10월에는 롯데쇼핑, iM금융지주, 세아홀딩스 등 5개사가 주기적 공시를 추가로 제출했다.

시장 전반에서는 밸류업 지수의 이례적 상승에 ETF 시장 성장, 대형 상장사의 자발적 공시가 맞물리며 개별 종목과 시장 전체의 기업가치 제고 노력이 함께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공시기업의 시가총액은 전체 시장의 44.5%에 해당하며, 특히 코스피 내 비중은 49.9%로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1조 원 이상 대형 상장사의 공시 참여율이 65.3%에 달하는 반면, 1천억 원 미만 소형 상장사는 6.0%에 불과해 대형주 위주로 밸류업 정책이 확산되는 양상도 확인됐다.
한국거래소는 “이번 현황 통계를 통해 밸류업 자율 공시 추이, 공시기업의 시가총액 비중, ETF 자금 유입 등 다양한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도 “코스피 연동 기업의 움직임, 밸류업 ETF 자금 흐름 및 추가 공시 참여의 확대 여부가 앞으로 투자 방향을 결정할 변수”라고 보고 있다.
향후 밸류업 본격화 흐름이 대형주를 넘어 중소형주 전반으로 확산될지 주목되는 가운데, 관련 정책 및 ETF 시장 성장 흐름에 시장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