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잠수함 건조, 정치성향 뛰어넘는 환영”…국민 87% 긍정 평가
핵잠수함 건조 승인 문제가 한국 정치권의 주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국민 10명 중 9명에 달하는 압도적 다수가 긍정 평가를 내놓으며 정파를 초월한 공감대가 확인됐다. 한미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핵잠수함 건조 승인을 받았다는 발표 직후 진행된 ‘여론조사꽃’의 여론조사 결과, 긍정 평가가 87.2%로 집계되면서 정치권에 강한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여론조사꽃’이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CATI 전화면접조사에 따르면, 핵잠수함 건조 승인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87.2%, ‘부정적’은 9.4%에 그쳤다. 긍·부정 격차는 77.8%포인트로 집계됐다. 특히 “매우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절반에 가까운 49.7%를 기록해 국민적 기대감이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세부적으로 지역별 격차도 크지 않았다. 호남권(96.9%)을 비롯해 충청권(91.8%), 강원·제주(90.5%), 경인권(87.9%), 서울(85.2%), 부울경(83.4%), 대구경북(77.8%) 등 전국 모든 권역에서 긍정 평가가 민주적으로 형성됐다. 연령별로도 40대(95.9%), 50대(90.6%) 등 중장년층의 기대감이 가장 높았지만, 30대(85.6%), 18~29세(82.4%), 60대(87.3%), 70세 이상(79.3%) 등 전 세대에서 80%를 상회하는 높은 긍정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녀 모두 10명 중 8명 이상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해 성별 간 인식 격차도 드러나지 않았다.
정당지지층별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6.4%가, 국민의힘 지지층의 74.0%가 긍정 평가에 동참했다. 무당층도 76.9%가 긍정적으로 답해, 정치 성향을 넘어선 지지가 엿보였다. 이념성향별로도 진보층(95.9%)과 중도층(91.2%), 보수층(75.4%) 모두 긍정 평가가 우세했다.
동일 기간 무선 ARS로 진행된 또 다른 조사에선 긍정 평가가 80.3%, 부정 평가가 15.3%였다. 특히 “매우 긍정적이다”라고 답한 비율이 62.1%에 달해, 핵잠수함 건조 승인을 둘러싼 국방 자주역량 강화에 대한 열망이 극명히 드러났다. 호남권이 91.5%로 가장 높은 지지를 보냈으며,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7.4%, 국민의힘 지지층의 51.5%가 긍정 입장을 표했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와 중도, 보수층에서 각각 94.4%, 83.0%, 65.3%가 긍정 평가에 응답했다.
이번 CATI 조사는 성·연령·권역별 비례할당 및 무작위 추출로 표집, 통신3사 제공 무선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0.7%였다. 같은 기간 실시한 ARS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1,011명을 무선 RDD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응답률은 1.9%,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다.
정치권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이번 조사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방위산업 국산화’와 ‘자주국방’이라는 국정 기조의 연장선에서 집권여당과 야권 모두 긍정적 기류를 형성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한편 국방역량 강화와 대미 신뢰도의 상승, 동북아 안보 질서 내 한국의 역할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양상이다.
국회는 향후 관련 법안과 예산 배정, 한미 협력 로드맵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정치권은 이번 핵잠수함 건조 승인 이슈를 두고 초당적 논의와 공감대가 확산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