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로병사의비밀, 심장 멎는 공포”…실신 충격의 기록→삶을 가로지르는 서늘한 경고
새벽 공기의 고요함 속, 평범하게 걷던 사람이 갑자기 시야가 흐려진다. ‘생로병사의 비밀’은 실신이라는 예기치 못한 순간이 어떻게 평온하던 일상을 송두리째 바꿔버리는지, 그리고 그 이면의 복잡한 원인과 인간의 연약함을 깊이 있게 비춘다. 김학선 교수가 생방송 도중 목격한 미주 신경성 실신의 몰아치는 공포부터, 김경희 씨의 반복됐던 의문의 쓰러짐까지, 각각의 사연마다 지워지지 않는 불안과 가족의 절박함이 겹친다.
실신의 이면에는 낙상 등 즉각적인 외상뿐 아니라, 가족력과 신경학적 문제, 심장성 부정맥 등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이 상존한다. 냉장고 앞에서 비틀거리던 순간엔 가족의 손이 떨리고, 이식형 심장 사건 기록기를 달고 살아가던 황선민 씨에게는 생명을 위협하는 후진적 부정맥이라는 충격적 진단이 내려졌다. 쉽게 일어나는 실신도, 그 이면에 무거운 병이 숨어 있을 수 있다는 절실한 경계심이 강조됐다.

더불어 실신과 혼동하기 쉬운 질환도 조명됐다. 어지러움에 쓰러졌던 김동환 씨의 경우, 전정기관 장애처럼 귀 안의 복잡한 신경 차단에서 비롯된 병이 진단됐다. 또한 기억과 의식이 모조리 끊기는 순간을 반복했던 김현미 씨는 끝내 뇌전증이라는 다른 길 위에 섰다. 이처럼 실신을 닮았으나 본질적으로 결이 다른 병들은 우리에게 정밀한 진단과 신속한 대응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누구에게나 예고 없이 다가올 수 있는 실신의 위협은 오늘도 평범한 어느 순간, 조용히 다가온다. 무심코 넘긴 한 번의 쓰러짐이 사실은 몸이 보내는 심각한 경고임을 ‘생로병사의 비밀’은 치밀하게 좇는다. 전문가와 환자, 가족이 함께 짚어가는 실신의 드넓은 풍경은 단순한 건강 이슈를 넘어, 인간의 삶 자체를 되짚게 한다.
‘생로병사의 비밀’은 다가오는 수요일 밤 10시, 실신의 예고 없는 공격과 그에 따른 대응 전략까지 한결 깊어진 시선으로 시청자를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