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로보택시 1억 마일 돌파”…미국 웨이모, 자율주행 시장 격돌 예고
국제

“로보택시 1억 마일 돌파”…미국 웨이모, 자율주행 시장 격돌 예고

강태호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6월 15일, 미국(USA) 자율주행 선도기업 웨이모(Waymo)가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의 누적 주행거리가 1억 마일(약 1억6천만㎞)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6개월 만에 두 배로 급성장한 기록으로, 미국 대도시를 중심으로 로보택시 사업이 본격 확장되는 국면에 접어들었다. 빠른 실도로 운행 데이터 축적은 모빌리티 시장 내 기술 진화와 규제 논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웨이모는 현재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피닉스, 애틀랜타, 오스틴 등 미국 내 5개 도시에서 총 1,500대의 로보택시를 운행하고 있다. 지난해 7월 기준 주행거리는 2,500만 마일에 불과했으나, 1년 만에 4배로 증가하는 등 실증적 이력 확보가 가속화되고 있다. 사스왓 파니그라히 웨이모 최고제품책임자는 “수년간의 체계적인 발전이 빠르고 책임감 있는 확장 단계로 이행되고 있다”며, “더 많은 도시에서 새로운 도전과제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웨이모’ 로보택시 1억 마일 주행 돌파…6개월 만에 두 배 성장
‘웨이모’ 로보택시 1억 마일 주행 돌파…6개월 만에 두 배 성장

웨이모는 2026년 워싱턴DC에서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호출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며, 뉴욕시에도 자율주행차 운행 허가를 신청하는 등 서비스 권역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 경쟁사인 테슬라(Tesla)도 오스틴 일부 지역에서 ‘모델Y’ 자율주행 차량 12대를 통한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고, 2개월 내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진출을 계획 중이다.

 

이 같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실도로 운행 데이터 집적과 신속한 도시 확장은 모빌리티 산업 내 시장 장악력 재편을 예고한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매체는 “로보택시 시장 경쟁 구도가 2025년을 전환점으로 치닫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자들과 업계에서는 주요 도시 내 소프트웨어 및 차량 기술 고도화, 현지 규제 변화, 신규 서비스 지역 확대 움직임 등이 자동차 및 정보기술(IT) 업계 주가에 영향을 줄 주요 변수로 꼽힌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기술적 신뢰성, 도시 환경 적응력, 운행 관련 안전 규제가 로보택시 확산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자율주행 산업 내 미국(USA)과 유럽(EU), 중국(China) 간 본격적인 주도권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 웨이모와 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 중심의 로보택시 서비스 진화가 국제 모빌리티 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강태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웨이모#테슬라#로보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