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 압박 없이 사명 다해야”…전진선 양평군수, 숨진 공무원 의혹에 전방위 지원 시사
정치적 충돌 지점인 공무원 강압수사 의혹을 둘러싸고, 양평군과 공무원노조가 맞붙었다. 김건희 여사 관련 특검 조사를 받은 뒤 한 공무원이 숨진 사건을 두고, 양측의 상반된 입장과 사회적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경찰 조사와 특검팀 반론이 이어지면서 공직사회와 지역사회 모두 격랑에 휩싸인 상황이다.
전진선 양평군수는 14일 오후 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평군 공직자들이 부당한 압박 없이 본연의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전 군수는 “공직자가 정당한 행정행위로 검찰 등 사법기관 조사를 받을 경우 명예가 훼손되지 않도록 고문 변호사 지원 확대, 심리상담 지원 등 군에서 할 수 있는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고인의 죽음 앞에서 우리 모두는 국가 제도의 역할을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끝까지 책임지고 지키겠다”고 덧붙였다.

현장에선 공무원노조 역시 유가족 보호와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김종배 전국공무원노조 경기지역본부 양평군지부장은 “고인이 생전 제기한 강압적 조사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고, 조사 절차의 공정성을 면밀히 검증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공직자 보호를 위해 조사·감사 대상자에 대한 심리적 지원 체계와 과도한 압박을 방지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고인의 죽음이 결코 미화되거나 정당화돼서는 안 된다”며, “특정 세력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삼는다면 돌이킬 수 없는 사회적 분열과 갈등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계했다.
관련 사건은 지난 2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에서 양평 공흥지구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받은 공무원 A씨는 10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현재 정확한 사인 규명을 위해 부검을 진행하고, 유서의 필적 감정도 의뢰한 상태다. A씨가 남긴 자필 문서에는 ‘강압수사를 받았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지만, 특검 측은 “강압과 회유는 없었다”며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정치권과 지역사회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조사 과정의 인권 보호와 제도 개선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향후 경찰 수사 결과와 특검의 공식 입장, 행정당국의 대응에 따라 관련 논란은 더 확산될 전망이다.
양평군은 비극 재발 방지와 공직사회 보호를 위한 제도 보완에 나설 계획이며, 국회·지자체 차원의 논의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