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십자회장 정권 유착 의혹 쟁점화”…여야, 복지부 산하기관·무비자 방역 두고 격돌
복지부 산하 기관장 거취와 중국인 무비자 입국 방역 정책을 두고 정치권의 논쟁이 격화됐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대한적십자사 김철수 회장, 그리고 무비자 방역 대책을 두고 날카롭게 맞섰다.
먼저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은 김철수 회장의 과거 국민의힘 후원회장 이력과 취임 과정을 문제 삼으며 “김 회장은 윤석열 대통령 후보 당시 국민의힘 후원회장을 지냈다. 윤 전 대통령의 힘으로 회장 됐고 유착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특히 적십자가 신천지에 52차례 표창을 수여한 점을 지적하면서, “헌혈만 많이 하면 흉악범이나 범죄 집단에도 표창을 줘도 되는 것이냐”(서미화)고 따졌다. 논란이 된 계엄 동의 여부에 대해 김 회장이 함구하자, 이수진 의원은 “적십자 명예를 더럽히고 있다”고, 서영석 의원은 “회장 자격이 없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복지·방역 분야의 현안을 부각하며 반격에 나섰다. 김미애 의원은 저조한 방역 관리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결핵의 경우 외국인 환자 비중이 높고 중국 국적 환자가 절반을 차지한다”며 “무비자 입국 정책 시행 단계에서 입국 시 결핵 검진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무비자 입국한 중국인 중 이탈자 사례 여부를 질의하며, “관광 활성화를 위해 무비자 정책이 필요하다면 그에 상응하는 방역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여야의 입장 차이는 국정감사 내내 팽팽하게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은 김철수 회장 비롯 복지부 산하 기관장의 자격 논란에 공세를 퍼부었으며, 국민의힘은 당면한 중국인 무비자 입국 방역 문제의 엄중함을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이슈 확산에 따라 복지부와 유관 기관의 후속 대응, 그리고 향후 인사 개편 논의로까지 파장이 확대될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국회는 복지·방역 정책을 둘러싼 여야 대립 속에 향후 후속 감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