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로봇 인증마크가 안전 보증”…식약처, 식품 조리로봇 국제 기준 마련

윤지안 기자
입력

최근 카페와 뷔페 등에서 인공지능 기반 로봇이 커피를 내리거나 국수를 조리하는 자동화 풍경이 늘고 있다. 하지만 위생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불안도 함께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런 우려 해소와 안전한 로봇 도입을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가 마련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3년 11월부터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제’를 도입해 조리로봇 등 자동화 식품기기의 위생과 안전 기준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업계는 이번 제도를 조리로봇 서비스 확산의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이하 ‘인증’)은 로봇 등 식품 자동화 장비가 식품 안전 규정에 부합하는지 심층적으로 평가하는 제도다. 제조사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해썹인증원)에 신청서류를 제출하면, 초기 재질 검토와 위생성 평가를 받는다. 이어, 국제인증기관에서 미생물 오염 방지, 구조와 내구성, 내열성 등 NSF의 글로벌 규격에 부합하는지 심층·현장평가를 받는다. 모든 단계를 통과해야만 공식 인증마크 부착이 허용된다.

기술적 강점은 미국 국가위생재단(NSF) 기준과의 동등성 확보다. 국내 인증이 곧바로 국제 시장 공신력과도 직결되며, 실제로 인증제품은 미국 본사 홈페이지에 등재돼 수출 시 강점이 된다. 기존에 각국 인증을 별도 취득해야 했던 절차적 복잡성과 비용도 낮출 수 있었다.

 

시장 확대 측면에서 인증제 도입은 기업 입장에서 제품 차별화와 신뢰성 강화 효과가 크다. 위생성·물성·충격강도까지 국제 수준 검증을 통과함으로써 소비자와 바이어 모두의 인식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평가다. 사전 상담·기술 지원 제도 및 합리적 비용체계, 부품 변경 시 추가부담 완화 등도 업계의 실제 도입 속도를 높이고 있다.

 

로봇 조리기기는 현재 주요 프랜차이즈 카페, 패스트푸드점, 호텔 뷔페 등에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미국·유럽에서도 자동 조리로봇의 NSF 인증 보유는 수출 및 신사업 입점의 필수 조건으로 간주된다. 국내 인증제도의 NSF 일치화는 향후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 문턱을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식약처는 관련 제도 홍보 확대와 인증 사후관리 강화도 예고한 상황이다. 의료기기·바이오 로봇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위생·안전 등 규제기준이 산업 확산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조리로봇이 생활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더불어 제도적 안전장치와 국제적 신뢰 확보가 동반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인증제가 실제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식약처#식품용기기안전관리인증#조리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