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극장 박승수, 손끝의 집념”…목공방에서 아들 품은 눈물→아버지 사랑의 깊이 궁금증
새벽의 싸늘한 공기가 목재 향과 뒤엉킨 작은 목공방에서 박승수와 가족의 하루가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인간극장’은 어느덧 시간의 나이테가 단단히 밴 박승수의 손끝에서 가족과 삶, 그리고 아버지란 자리의 무게를 조용히 응시했다. 51년 세월 동안 도구와 함께 살아온 목수의 인생에는 먹고사는 냉혹한 기억과 함께 망설임 없이 품었던 가족에 대한 애틋한 진심이 묻어난다.
유년 시절 강원도 산골에서 여덟 번째로 태어나 홀로 기술을 익혀야 했던 생존의 기억은 긴장 가득한 표정과 손끝의 숙련으로 아침 공방을 채웠다. 수해와 침수, 여러 차례 삶의 궤도에서 미끄러져 봤기에 박승수는 기술과 안전, 그리고 가족을 향한 애정 어린 잔소리를 멈추지 못했다. 아들 박기쁨 역시 청춘의 고집으로 아버지 곁을 등졌다가 먼 시간이 흐른 끝에 돌아와, 서로에게 각별하지만 어색한 시간을 견뎌냈다.

공방 어느 구석에도 집요하게 남아 있는 정리와 깔끔함은 결국 아들들에게 오롯이 닿지 못한 보살핌과 걱정의 또 다른 이름이었다. 손에 난 상처 하나하나에는 그리움과 애틋함, 그리고 가족의 숨겨진 오해까지 겹겹이 스며 있다. 굳이 세련되지 않아도, 투박하지만 단단하게 쌓인 하루하루를 박승수와 아들들은 다시 맞잡은 채 살아낸다.
가족 사진을 바라보며 잠시 멈춘 박승수의 시간에서, 그는 목수일만큼이나 서툴렀던 부정과 아버지라는 이름을 돌이켜본다. 어린 시절 어려움 속에서 안아본 적 적은 자식들과의 거리는 아직 덜 다듬은 나무와도 닮아 있다. 그러나 손녀에게 건네는 작고 섬세한 손길에서는 늦게 배우는 온기가 피어난다.
삶의 무게에 속절없이 끌려왔던 세월도, 오후의 희미한 햇살처럼 천천히 가족 사이로 스며든다. 박승수 목수 가족이 고요한 산골 공방에서 하나씩 맞춰가는 오늘은, 곧 나무의 나이테처럼 서서히 단단해진다. 일상에 단단히 밴 사랑의 온도와 오해를 견딘 시간, ‘인간극장’이 그리운 울림으로 시청자에게 다가간다.
완성과 치유, 그리고 비로소 마주한 아버지의 진심을 품은 이야기는 오는 9월 25일 오전 7시 50분 ‘인간극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