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서 목소리 냈다고 극우 평가 안돼”…장동혁, 대전 청년과 소통 행보 확대
정치적 평가는 청년 세대의 거리 발언에서도 첨예하게 대립했다. 24일 대전에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청년들과 만난 현장에서 좌우 이념 논쟁과 지역 현안이 맞부딪쳤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힘 지도부는 충청권 민심을 잡기 위해 대전 유성구 일대를 차례로 찾았다.
이날 청년 간담회에서 한 참석자가 "우파 청년들을 극우세력이라 공격하는 이들이 있다"고 발언하자, 장동혁 대표는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젊은 청년 중에서 나라를 걱정해 목소리를 내는 분들을 극우라고 하는 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며 "더불어민주당의 최근 행태를 볼 때, 온건하게 싸우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우리의 분노나 감정을 광장에서 표출한다고 극우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지구당 부활과 관련해서는 청년 구의원의 질문에 "지구당을 잘 관리할 제도적 보완장치가 있다면 반드시 부활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여야가 원론적으로 지구당 부활에는 크게 이견이 없으나, 당 내부 논의에서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대재해처벌법 등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현장 우려도 제기됐다. 한 중소기업 승계 청년은 법 부담을 토로했고, 이에 장동혁 대표는 "정부의 반기업적 정책이 경제를 어렵게 만들고, 코스피 5천도 불가능해진다"며 "중대재해처벌법은 물론 노란봉투법 등 보완입법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정책 및 산업 현장 방문도 이어졌다. 장동혁 대표는 대전 한국화학연구원장 이영국과 면담하고 "연구자의 도전정신을 존중하며, 문제해결을 위해 국회 차원에서 최대한 돕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건립 현장을 찾아 대전시장 이장우의 사업 설명을 듣고, 당의 전폭 지원을 시사했다.
정치권의 현장 소통 행보는 안보 이슈로도 확장됐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천안함, 연평해전 희생 장병과 한주호 준위, 채수근 상병 묘역을 차례로 참배했다.
이번 대전 방문을 두고 지역 내에서는 충청권 표심을 겨냥한 전략적 행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은 25일에도 대전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정계 일각에서는 연이은 수도권 및 중부권 방문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민심 다지기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