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재계 의견 청취”…이재명 대통령, 총수들과 통상협상 전략 논의
통상 현안을 두고 정부와 재계가 맞붙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기업 총수들과 간담회를 갖기로 하면서 정책 결정 과정에 재계 의견 반영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대통령실이 19일 서울 용산에서 ‘미일 순방 동행 경제단체 및 기업인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히자, 한미 통상협상 방향을 둘러싼 논의가 정국 격랑에 올랐다.
대통령실 설명에 따르면 이번 간담회에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주요 기업인들이 초청됐다. 또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등 재계 주요 인사도 참석 대상에 포함됐다. 조선, 반도체, 자동차, 방산, 바이오, 에너지 등 핵심 산업을 대표하는 인사들이 망라된 셈이다.

정부 측에서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대통령실에선 강훈식 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김용범 정책실장이 배석할 예정이다. 대통령실은 "미국과의 관세협상 과정에서 우리 기업의 다각적인 지원에 대해 감사를 표하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이어 "조만간 열릴 한미정상회담에 관해서도 얘기가 오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한국 기업의 미국 내 투자계획, 통상 정책 방향, 국제 협력 확대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재계 한 고위 관계자는 “한미 정상회담 핵심 의제인 관세 협상, 시장 확대, 기술 동맹 등이 국내기업의 경영에 직결되는 만큼 적극적인 의견 개진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대미 통상전략에 대한 재계 조율 시도가 국제 경제환경 변화 속 정책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감과 함께, 일부 업종의 이익 반영이나 대기업 중심 의사결정 우려도 동시에 제기됐다. 시민사회단체들은 ‘공정한 통상정책’ 원칙 준수를 주문했고, 전문가들은 “이해관계 충돌의 조율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경제계와 정부의 만남이 성사되면서, 국내외 통상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민간의 실질적 요구를 반영하는 방안 마련이 한층 중요해졌다. 정부는 기업 의견을 토대로 한미 정상회담을 준비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