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유학·논문 표절 의혹 깊이 반성”…이진숙, 국회 청문회서 대국민 사과
자녀 조기유학과 논문 표절 의혹을 둘러싸고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국회가 맞붙었다. 7월 16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이진숙 후보자는 거듭 고개를 숙이며 국민에게 사과의 뜻을 전했다. 각종 의혹이 집중된 만큼 청문회장은 긴장감이 감돌았으며, 여야는 날 선 공방을 벌였다.
이진숙 후보자는 “국민께 정말 송구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운을 뗐다. 그는 “2001년 방문연구원으로 미국에 체류한 경험이 계기가 돼 자녀들이 미국에서 공부를 강력하게 희망했다”며 유학 결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큰아이가 오랜 기간 미국에서 공부하길 원해 만류했으나, 자녀의 뜻을 꺾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차녀의 중학교 미이수 유학과 관련해서는 “둘째 딸은 언니가 먼저 유학 가서 따라간 경우였다. 그때는 중학교 과정을 마치지 않고 유학가는 게 불법인지조차 몰랐다”며 “인지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저의 큰 실수였다”고 고개를 숙였다. 조기 유학 자체뿐 아니라, 관련 법령 미준수 부분에 대해 보다 직접적으로 유감을 표시한 셈이다.
논문 표절‧중복게재 논란에도 발언이 이어졌다. 이진숙 후보자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기준과 책임이 막중함을 절감하는 시간”이라면서도 “30여년간 학자적 양심에 따라 연구했고, 학문의 진실성을 탐구해 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청문회에서 연구윤리 논란에 대해 소상히 설명하고, 국민 여러분의 이해를 구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여야는 이날 청문회를 통해 후보자의 자질과 도덕성에 대한 입장 차를 분명히 했다. 야당 측은 “교육부 수장으로서 책임과 신뢰 문제를 되짚어야 한다”며 자녀 유학과 연구윤리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반면 여당은 “학문적 이력과 교육 철학, 청렴성에 무게를 둬야 한다”고 맞섰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 후보자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도덕성 검증을 둘러싼 논란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교육정책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명확한 해명과 책임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고 분석했다.
이날 국회는 이진숙 후보자의 자녀 유학 및 논문 표절·중복게재 의혹을 두고 치열한 논쟁을 이어갔다. 청문회 이후에도 정치권에서는 교육부 장관 임명 적격성 논의가 한동안 정국의 주요 현안으로 떠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