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필수 의료 붕괴 심각”…부산대·경상국립대병원 재정 위기도 국감 도마

조보라 기자
입력

필수 의료 기피와 대규모 재정 적자가 동시에 불거진 국립대병원이 국정감사장에 올랐다. 정치권은 지역 거점 대학병원의 의료 붕괴와 재정 위기를 놓고 책임 공방을 벌이며, 현장 의료진과 경영진은 구조적 해법을 촉구했다.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강경숙 의원은 경남도교육청에서 열린 부산대병원과 경상국립대병원에 대한 질의에서 필수 진료 분야의 충원율 저하와 교수진 이탈을 집중적으로 문제 삼았다. 강경숙 의원은 “두 병원의 전공의 충원율이 매우 저조하다”며 “특히 경상국립대병원의 경우 올해 상반기 대다수 채용에서 지원자가 전무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외과, 소아청소년과, 심장혈관 흉부외과 등 필수과목에 대한 기피 현상이 극심해 사실상 필수 의료의 붕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정성훈 부산대병원장은 “젊은 의사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며 “생명이 오가는 응급 상황이 많고, 환자 사망과 의료 분쟁 위험도 높아 지원을 꺼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수가나 수당 인상을 해도 여전히 필수과를 등지고 다른 진료과로 이탈하는 현상이 반복돼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안성기 경상국립대병원장도 “피부미용 등 비필수 진료분야가 사법 리스크 없이 높은 소득을 올리는 상황”이라며 “전공의들이 필수의료를 기피하게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지역 근무 전공의에 대한 전폭적 재정 지원과 교육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올해 교수진 이탈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강경숙 의원은 “경상국립대병원에서 20명, 부산대병원에서 25명의 교수가 사퇴했다”며, 전공의 공백으로 인한 당직 부담이 교수 이탈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정성훈 부산대병원장은 “특히 야간 응급환자 대응 업무 부담이 커 일부 교수가 떠났다”며, “자체적으로 위중환자 대응팀을 꾸려 당직 부담을 줄이고 있지만 한계가 분명하다”고 털어놨다. 안성기 경상국립대병원장 역시 “병원이 적자를 내는 상황이라 교수 수당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며 “자구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재정난을 호소했다.

 

재정 문제도 집중 질의가 이어졌다.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은 “경상국립대병원은 부채가 4천868억원, 자산이 4천650억원으로 완전 자본 잠식 상태”라며 “일반 기업 같으면 이미 부도가 났을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안성기 원장은 “공공기관으로서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며 “병원 내부적으로 최대한 절감과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과 의료계에서는 필수의료 붕괴와 대학병원 재정난 악순환이 지역 주민의 건강권까지 위협한다고 지적한다. 의료 현장에서는 의료진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재정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현안에 대한 추가 대책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며, 향후 정부 및 국립대병원들의 종합적 대응 방안이 주목된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강경숙#부산대병원#경상국립대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