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사회적 대화의 장 열었다”…우원식, 노동·재계와 갈등 해소 방안 모색
사회적 대화의 정착을 둘러싼 국회와 노동계, 재계가 한자리에 모였다. 국회 주도로 10월 15일 '국회 사회적 대화 기구'가 공식 출범하면서, 노동계와 경제계, 입법부가 갈등 극복과 개혁 논의를 본격화했다. 이 과정에서 각계 대표들의 상반된 목소리와 더불어 현실적인 대안 모색 의지가 부각됐다.
이날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국회 사회적 대화 공동 선언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은 "국회와 노동·경제계가 의기투합해서 우리 사회의 여러 갈등과 도전을 대화와 토론으로 해결하는 틀을 만든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소회를 밝혔다. 우 의장은 이어 "사회적 대화가 국회와 현장을 연결하고 위기 극복에 역량을 쏟을 수 있게 유도하는 물길이 될 것"이라며 제도 개혁 추진 의지도 내비쳤다.

이번 국회 사회적 대화 기구에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등 노동계, 그리고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계의 핵심 5대 단체가 공식 참여했다. 특히 민주노총의 경우 지난 9월 26년 만에 사회적 대화 복귀를 결정하면서 이목을 끌었다.
행사장에 참석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혁신을 가로막는 계단식 규제와 낡은 제도를 걷어내고 AI 전환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며 산업 구조 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노사가 밥솥을 깨뜨리지 않고 밥을 더 많이 지을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비유했다.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은 "결과에 집착하기보다는 구동존이의 자세로 차이를 좁히는 과정 자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발언했다. 노동계 역시 대화의 과정과 이견 인정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은 "사회적 대화의 결과가 정권에 따라 소모적이거나 합의가 무력화되는 과오를 반복해선 안 된다"고 성찰하며 상생과 협력의 정신을 촉구했다.
정치권도 행사장에 대거 참여해 사회적 대화의 취지에 뜻을 맞췄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노동자와 기업, 정부가 함께할 때 위기를 넘어 도약할 수 있다"며 포용과 통합의 출발점임을 강조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다수당이 소수당을 해산해야 한다고 말하는 상황에서 대화도 쉽지 않다"며 정치권 내 소통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동시에 사회적 대화뿐 아니라 정치적 대화의 필요성도 당부했다.
국회는 이번 사회적 대화 기구 출범을 계기로 정파와 이념, 이해관계에 묶인 사회 현안 해소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정치권과 노동·경영계 모두 상생을 앞세운 사회적 대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구조적 변화와 실질적 합의 실현에 힘을 쏟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