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사건 왜곡 중단하라”…전남 국회의원 10명, 조선일보 정면 비판
여순사건을 둘러싼 언론의 역사 인식이 또다시 정치권의 격돌을 불러왔다. 전남 지역 국회의원들이 조선일보의 최근 보도에 강력히 반발하며 역사 왜곡 중단과 사과를 촉구했다. 보수 매체의 기사 내용이 민주당 의원 집단 행동을 촉발시키면서 현 정부의 국민통합 메시지까지 비화되는 양상이다.
전남 지역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10명은 2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일보는 여수·순천 10·19 사건(여순사건) 역사 왜곡을 즉시 멈추고 희생자와 유족, 영령 앞에 사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문수, 조계원, 권향엽, 문금주, 김원이 의원 등 5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조선일보의 지난 19일 여순사건 77주기 대통령 메시지 관련 보도가 “희생자 명예를 짓밟은 것”이라며 강력히 비판했다.

의원들은 특히 "다시는 국가폭력으로 무고한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모든 조치를 다 하겠다"는 대통령의 메시지를 조선일보가 “‘반국가적 역사관’으로 왜곡하고 ‘남로당 반란 옹호’로 매도했다”고 주장했다. 조선일보가 1948년 여수 제14연대 장교의 발언을 근거 삼아 여순사건을 '좌익 공산주의자들의 반란'이라고 서술한 점에도 의원들은 “국가폭력 가해자의 입을 빌린 역사 왜곡이자 희생자, 유족에 대한 모욕”이라고 반발했다.
또한 의원들은 “조선일보가 보수논객을 동원해 여순사건을 ‘반란’, ‘좌익 폭동’, ‘집단 테러’로 규정하며 대통령의 발언마저 거짓말로 비난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통합을 강조한 대통령의 뜻을 훼손하기 위해 낡은 반공 프레임을 재차 꺼내 들었다”고도 평가했다.
여순사건 특별법이 규정한 사건 정의 역시 재차 강조됐다. 특별법은 “정부 수립 초기 여수 주둔 국군 제14연대 일부가 제주 4·3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며 일으킨 사건으로, 진압 과정에서 전남, 전북, 경남 등지에서 다수 민간인이 희생된 사건”임을 명기하고 있다.
전남 국회의원 전원 명의로 작성된 이날 성명에는 주철현 의원을 제외한 동부권 김문수, 조계원, 권향엽, 문금주 의원과 서부권 김원이 의원 등 5명이 자리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국가폭력의 역사는 반복돼선 안 된다”며 언론의 역사 인식 전환과 국민 분열 해소를 강조했다.
야권 의원들이 집단 행동에 나서면서 77주기를 맞은 여순사건을 둘러싼 과거사 인식 논란이 당분간 정치권 안팎의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정치권은 향후 언론의 보도 관행, 과거사 정의 문제를 놓고 치열한 공방전을 이어갈 공산이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