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북특사 파견으로 대화 물꼬 터야”…여당 내 한반도 평화 외교론 부상

전민준 기자
입력

남북관계 경색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여당 내에서 대북특사 파견 필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김영남 전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별세가 조문외교의 계기가 되면서 남북, 북미 간 대화 재개 주장이 다시 힘을 얻는 모양새다. 국정원의 북미 정상회담 준비 정황 보고와 맞물려 한반도 외교 지형에도 변화 바람이 일고 있다.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11월 5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코스피 5,000시대를 여는 마지막 열쇠는 한반도 평화 회복으로, 골든타임을 놓쳐선 안 된다”며 “앞으로 6개월은 남북 신뢰의 회복과 한반도 평화 정착의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은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정치적·외교적 노력이 요구되는 시기”라며 “대한민국이 한반도 ‘피스메이커’로서 북미 대화를 견인하고 남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변 4강과 전략적 소통을 해 북미·남북 대화 물꼬를 트도록 한반도 평화 특사 파견을 촉구한다”고도 밝혔다.

특사 파견론은 박지원 의원의 움직임을 계기로 가시화됐다. 박 의원은 지난 4일과 5일 연이어 자신을 김 전 상임위원장 ‘조문 특사’로 북측에 보내줄 것을 요청하며,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금 남북관계가 막혀 있지만 우리가 의사 표시를 하면 전달은 된다”며 조문 특사를 통한 대화의 물꼬 트기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과거 김영남 상임위원장과 인연을 언급하며, “정부보다는 제가 (특사로) 최적임자라 국정원장도 아쉬움을 표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국정원이 북미 정상회담을 내년 3월로 예상했다. 구체적 정황은 밝히기 어렵지만 대북 문제에 한해 국정원을 믿어도 좋다”고 덧붙였다.

 

여권 지도부에서도 긍정 신호가 감지된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북미정상회담은 불발됐지만 북한이 물밑에서 대화를 준비해 온 정황이 확실한 만큼 정부는 평화 외교 복원을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며 “박 의원 제안을 정부가 숙고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전 상임위원장 조문이 남북 간 신뢰 회복의 물꼬가 될 수 있다”며 “한반도 평화를 위해 가능한 모든 합법적 방안을 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은 특사론 확산에는 북미 대화 재개 기대감도 한몫하고 있다. 최근 비공개 국정원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북미 정상회담을 준비 중이라는 보고가 나오자, 한미·남북 관계 개선 가능성도 다시 거론되는 분위기다.

 

민간부문에서도 남북 대화 필요성을 재차 언급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계승하는 김대중재단은 논평을 통해 김영남 전 상임위원장의 별세를 애도하며 “김 전 위원장은 6·15 남북정상회담 등 남북 화해와 협력을 위해 힘썼다”고 평가했다.

 

여당 내에서 제기된 한반도 특사 파견론이 향후 정부의 외교 전략에 반영될지 주목된다. 정치권은 한미·남북 대화 모멘텀 조성을 위한 조기 대응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정부는 향후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외교 행보를 검토할 방침이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박지원#전현희#대북특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