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선물에 19만 원 더 쓴다”…미국 관세정책, 소비 위축 및 인플레이션 우려 확산
현지시각 기준 3일, 미국(USA)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지속 시 올해 연말 선물 구매에 따른 소비자 1인당 부담이 132달러(약 19만 원)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같은 예측은 미국 온라인 대출업체 렌딩트리가 2024년 미국 소비자의 연말 선물 구매 자료에 현행 관세율을 반영해 시뮬레이션한 결과에서 도출됐다. 관세 부담은 소비자와 소매업체 모두에게 영향을 끼치며, 총 증가 비용은 406억 달러(약 59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세부적으로는 연말 시즌 소비자 부담분이 286억 달러(약 41조 원)로 전체의 70%가 넘었고, 나머지 120억 달러(약 17조 원)는 소매업체가 추가적으로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전자제품 부문이 1인당 평균 186달러(약 26만6천 원)로 가장 큰 부담을 기록했으며, 의류와 액세서리 구입 비용도 1인당 82달러씩 증가했다.

렌딩트리의 매트 슐츠 최고소비자금융 애널리스트는 “대다수 미국 소비자 입장에서 연말 선물 비용이 132달러 추가되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해당 비용 증가가 소비자 가계에 실질적 충격을 줄 수 있으며, 연말 시즌 지출 축소 또는 신용 부채 확대를 동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도 최근 기자회견에서 “현행 관세로 특정 품목의 가격이 인상돼 전체 물가에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에 따른 물가 상승이 일시적일 수 있지만, 동시에 인플레이션 위험을 길게 안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관세 영향 시뮬레이션 결과가 공식적으로 제시되면서, 미국 내에서는 소비 심리 위축과 인플레이션 압력 심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주요 외신들도 “관세 정책 변동성이 연말 소비 시장을 흔드는 변수로 부상했다”(CNN)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향후 관세정책 기조와 연말 민간소비 흐름이 시장 변동성을 좌우할 핵심 요인으로 꼽히는 가운데, 관련 업계와 투자자들은 정부 정책 변화와 소비 트렌드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분석 결과가 앞으로 미국 경제와 글로벌 소비시장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