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미군기지 보안 논란에 동두천 걸산동 주민 고립 지속”…용산-케이시 사령부, 통행증 또 거부

오예린 기자
입력

동두천시와 용산-케이시 미군기지사령부 간 갈등이 다시 격화하고 있다. 경기 동두천시 걸산동 신규 전입 주민들의 통행증(패스) 발급이 또다시 거부되며, 통행권 침해 논란이 재점화됐다. 동두천시는 2025년 11월 4일 걸산동 신규 전입 주민 4명에 대해 미2사단 측이 신원보증까지 했지만, 미군기지사령부가 '기지 보안' 사유로 끝내 패스 발급 불가 입장을 고수했다고 밝혔다.

 

미군기지사령부는 2022년 6월 29일부터 보안을 이유로 걸산동 새 전입자들에게 패스 발급을 중단해왔다. 이에 따라 통행증이 없는 주민들은 위험한 임도를 이용해 마을을 오가야 했고,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었다. 동두천시는 실무협의, 공식 공문, 기지사령관 면담 등 다양한 경로로 통행권 보장의 필요성을 피력해왔지만, 미국 측의 태도는 좀처럼 바뀌지 않았다.

특히 지난 7월, 시는 캠프 케이시에 주둔 중인 미2사단의 신원보증 절차까지 요청했지만, 용산-케이시 기지사령부는 이 또한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동두천시와 시의회는 17장의 공무상 패스 반납을 결정하며 깊은 유감을 표했다.

 

정치권 일각과 지역 주민들 사이에선 "70여년 묶인 걸산동 고립 해소가 시급하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기본적인 통행권 보장을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며 "조속히 실질적 해결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걸산동은 6·25전쟁 이후 70여년간 캠프 케이시에 가로막혀 '육지의 섬'으로 불리는 지역이다. 미군기지를 통과하면 10분 만에 마을로 갈 수 있으나, 통행증이 없으면 1시간 가까이 산길을 우회해야 한다. 하루 2회 운행되는 버스도 패스가 없으면 이용이 불가해, 현재 50여 가구 80여 명 주민들은 오직 패스를 통해서만 기지를 통과하고 있다.

 

한편 동두천시는 미군기지사령부와 추가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며, 국방부 등 관련 당국과 연계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로 했다. 시의회 또한 주민들의 기본권 보장 문제를 국회와 중앙정부 차원에서 재차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오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동두천시#미군기지#걸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