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기반 조성 박차”…대전시, 공공기관 신속 이전 대비
대전시가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위한 혁신도시 기반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9월 24일 “공공기관 우선 입주시설로 검토 중인 대전역세권 복합2-1구역 개발사업과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을 각각 연내 착공 및 사업자 선정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1차 지방이전 때보다 훨씬 빠르게 입주시설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두 곳 모두 약 6만 제곱미터(㎡) 규모에 1,500~2,000명 수용이 가능하며, 뛰어난 교통 여건과 정주환경으로 공공기관의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덕구 연축지구에도 대형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 향후 이전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대전시는 2020년 충남과 함께 혁신도시로 지정됐지만, 2차 이전이 지연되면서 그동안 실질적인 기관 이전이 이뤄지지 않았다. 시는 39개 주요 유치기관을 선정하고 수도권 공공기관과 업무협약(MOU) 체결 등 전략적 유치 활동을 지속해왔다.
최근 정부가 국정과제로 2차 공공기관 이전을 공식화하자, 대전시는 대전역세권과 메가충청스퀘어 등 우수 입지를 내세워 유치 활동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바이오헬스, 나노반도체, 국방 등 지역 전략산업과 연관된 기관 유치에 집중하고, 수도권 공공기관을 직접 방문해 입지 여건을 홍보하는 한편, 실무 협약도 확대한다.
시는 정부 및 정치권에 대전에 공공기관을 우선 배치해달라고 요구하는 등, 1차 이전에서 제외됐던 불이익과 세종시 출범에 따른 역효과를 극복하기 위해 충남도와 공동 대응도 추진할 방침이다. 전재현 행정자치국장은 “대전은 즉시 이전이 가능한 준비를 모두 마친 상태”라며, “정부 정책에 부응해 대전혁신도시가 지역 성장의 거점이 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대전시가 공공기관 유치 경쟁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끌어낼 수 있을지 전국적인 관심이 모이는 가운데, 향후 정부와의 협의, 제도적 정비, 지역 민심 수렴 등 다양한 과제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