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차담회, 책임 통감”…이재필 본부장·허민 청장, 국정감사서 잇단 사과
김건희 여사의 ‘종묘 차담회’ 논란을 둘러싸고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청 수장이 잇따라 책임을 인정하며 사과에 나섰다. 정치적 파장은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 현장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16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의원은 이재필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장을 향해 “지난해 국감 때 한마디도 하지 않았고 끝까지 모르는 체했고, 단지 그들이 들어가서 차담회를 했다는 수준에서 계속 거짓말하고 위증하고 은폐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이재필 본부장은 곧바로 “송구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김건희 여사는 2024년 9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에서 외부 인사들과 차담회를 가져 국가유산 사적 유용 논란이 확산된 바 있다. 궁능유적본부가 종묘 사용 허가 및 관리 업무를 맡고 있다는 점에서, 야당은 관리·감독 책임을 강도 높게 추궁했다.
이재필 본부장은 ‘차담회 당시 사용료 부과를 왜 하지 않았나’, ‘사용 견적은 얼마였냐’는 양 의원의 재차 질의에 “망묘루만 했을 때는 150만원 정도”라고 답했다. 또한, 조선 왕실 신주가 모셔진 영녕전 신실이 차담회 당일 개방됐다며 유족에게 사과할 의향이 있냐는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는 “사과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김 여사와 외부인이 신실 내부까지 들어갔냐’는 지적에는 “신실 1곳을 열었으나, 안까지는 들어가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계속된 질책에 대해 이 본부장은 “대통령실의 요청이 있더라도 신중하게 판단했어야 했는데 못한 점이 있다”며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문화유산 보존 관리에 매진하겠다”고 덧붙였다.
허민 국가유산청장 역시 “종묘 차담회는 잘못했다”고 공식 인정했다. 이어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특검 결과와 무관하게 필요하다면 별도 수사 의뢰를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야당 의원들은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청의 관리 소홀 및 유적 사용 행정의 투명성 문제를 집중 부각했다. 여당은 관련 의혹에 대한 특검 결과와 기관의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데 힘을 실었다.
정치권의 책임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문화유산 관리 감사와 법적 쟁점에 대한 논의는 계속될 전망이다. 국회는 향후 관계기관 추가 조사와 범정책 차원의 제도 개선 논의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