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노소영, 대법 판결 언급 자제”…AI 시대 미술 방향성 강조

윤선우 기자
입력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최태원 SK그룹 회장과의 이혼 소송과 관련한 대법원 판결에 대해 언급을 삼가며, AI 시대의 한국 미술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에 집중했다.

 

24일(현지시간), 노 관장은 영국 케임브리지대 아시아·중동학부에서 열린 한국 미술 강연을 마친 뒤 취재진의 “대법원 판결에 대한 입장이 있느냐”는 질문에 “지금 그에 대한 말씀을 드리는 건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짧게 답했다.

노소영 / 연합뉴스
노소영 / 연합뉴스

앞서 대법원은 지난 16일, 최태원 회장이 노소영 관장에게 총 1조3808억원의 재산분할금을 지급하라고 한 2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돌려보냈다. 다만 위자료 20억원 지급 판결은 그대로 유지했다. 2심에서는 노태우 전 대통령의 300억원 비자금을 SK그룹 초기 자금에 포함, SK 주식을 분할 대상으로 봤으나, 대법원은 해당 비자금을 불법 자산으로 인정해 재산 분할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재산 분할 금액은 파기환송심에서 다시 정해질 전망이다.

 

이날 노 관장은 강연에서 인공지능이 미술계를 포함한 사회 여러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했다. 그는 “AI 시대에 우리는 종종 지능을 모든 문제의 궁극적 해결책으로 여기지만, 오히려 세상은 점점 더 분열되고 불평등해지며 자멸적으로 변해가고 있다”고 진단하며, 기술 만능주의의 한계를 강조했다.

 

한편 이번 판결과 관련해 사회 각계에서는 재산분할의 기준·불법자산 판단 등 쟁점을 두고 제도적 개선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법조계 내부에서는 고위층 이혼과 자산 분할을 둘러싼 선례 마련 필요성도 제기된다.

 

노소영 관장과 최태원 회장의 이혼 소송은 한국 재벌가의 사법적·사회적 책임 문제까지 번지며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향후 서울고법 파기환송심의 판단과 더불어, 관련 법·제도 정비에도 관심이 쏠린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노소영#최태원#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