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군부대 태풍·폭우 피해액 2천억원 돌파”…추미애, 군 재난 대응 강화 촉구
태풍과 기록적인 폭우로 인한 군부대 피해가 5년여간 2천여건, 금액으로는 2천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권에서는 군의 재난 대응 체계 강화 필요성을 둘러싼 논쟁이 다시 불붙는 분위기다.
5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기반으로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태풍과 집중호우로 군부대 시설이 입은 누적 피해는 총 1천960여 건, 금액으로 약 2천124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2020년에는 특히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 집중호우가 이어지며 육군·해군·공군·해병대 전 분야에서 피해가 집중됐던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세부 내역을 보면 2020년에만 육군 36곳, 해군 51곳, 공군 14곳, 해병대 3곳 부대가 각각 침수·파손·유실 등 직접 피해를 겪었다. 구체적인 피해액은 육군이 1천40건 1천300억원, 해군이 51건 13억원, 공군이 37건 82억원, 해병대가 19건 7천500만원이었다.
최근에도 피해 규모는 만만치 않다. 올해 7월 경기도와 충청도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가 확산했고, 당시 육군과 해병대는 서울과 경기도, 해군은 전라도, 공군은 충청도 일대에서 경계 울타리 및 철조망 붕괴, 교각 유실, 지붕 파손 등 총 133건의 시설 피해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군 당국은 “재난 취약 지역 시설을 등급별로 분류하고 피해 예방을 위한 상시 관리체계를 구축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추미애 의원은 “기후 변화로 기록적인 폭우가 잦아지는 현실에서 군 역시 재난 대비와 피해 방지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며 “인명 피해로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지속적인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집계 결과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군 시설 현대화와 기후 위기 대응 전략 마련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회는 군부대 및 공공시설의 재난 안전 대책 강화를 위한 추가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